다문화행복플러스플랜
English
日本語
中文
Việt
Filipino
ភាសាខ្មែរ
Russian
- 다문화 가족이 행복할 수 있도록 부산이 함께합니다.
- 우리시에서는 한국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다문화가족의 조기 정착 및 안정적 생활 지원으로 사회통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문화 아동・청소년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1. 취학준비 학습지원 사업(다배움)
- 대 상 : 다문화가족 미취학 아동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 내 용 : 미취학 아동 대상 기초 한글, 기초 수학, 읽기‧쓰기 등 학습 지원
- 문 의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11개소
- 다가센터 : 부산진구, 북구, 해운대구
- 가족센터 : 서구, 동구, 영도구, 동래구, 사하구, 수영구, 사상구, 금정구
2. 정서안정 및 진로 취업 지원사업(다채움)
- 대 상 : 학령기 자녀 (만7세~만 18세)
- 내 용 : 학령기 자녀 가정 내 문제, 학업, 교우관계 등 전문적인 심리 상담,
진로 탐색 및 취업지원 등 취업컨설팅 연계, 사후관리(연 4회 이상)
- 문 의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6개소
- 다가센터 : 북구, 해운대구
- 가족센터 : 서구, 동구, 사하구, 사상구
3. 다문화가족자녀 이중언어 동화책 지원
- 내 용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내 이중언어 동화책 비치, 대여 등
- 문 의 : 부산시 여성가족과(☎ 888-1544)
4. 다문화가족 자녀 방문학습 지원
- 대 상 : 만 3세에서 초등학생 이하 다문화 자녀
- 내 용 : 한국어 등 초등 주요 교과과목 방문학습 및 학력 진단검사, 종합능력진단검사,
다중지능 및 진로 탐색 체험학습 등
- 문 의 : 부산시 여성가족과(☎ 888-1541)
결혼이민자 정착주기별 지원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운영
- 현 황 : 14개소 ▹ 다문화가족지원센터(5개소), 가족센터(9개소)
- 주요사업 : 다문화가족 및 자녀 교육·상담, 통·번역 및 정보제공,
역량강화 지원 등 종합적인 서비스 제공
- 거점센터 : 남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여성회관)
2. 다문화가족 한국어교육기관 운영 지원
- 대 상 : 결혼이민자, 중도입국자녀 등
- 교육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16개소
- 운 영 : 7개 과정(자녀학습, 지역문화, 중도입국, 취업, 토픽읽기, 토픽듣기, 토픽쓰기)
※ 매년 한국어교육 운영기관 대상 한국어 교재 일부 지원
3. 결혼이민자 학력신장 지원
- 대 상 : 결혼이주여성
- 내 용 : 초, 중, 고 검정고시 교육반 운영
- 문 의 : 서구가족센터, 동구·부산진구·북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
4. 운전면허 필기 및 기능교육
- 대 상 : 결혼이민자, 20세 이상 다문화 자녀
- 내 용 : 운전면허 필기교육 및 기능교육
- 문 의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5. 국적취득 대비반 교육 운영
- 대 상 : 결혼이민자
- 내 용 : 한국역사, 정치, 문화 등 기본소양 학습 지원
- 문 의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6. 결혼이민자 직업교육훈련 과정 운영
- 대 상 : 결혼이민여성
- 내 용 : 결혼이민자의 취업 연계가 가능하면서 구인 수요 높은 취업직종의 직업훈련과정 운영
※ 호텔객실관리사, 정리수납전문가
- 운 영 : 부산, 기장 여성새로일하기센터 2개소(☎ 1544-1199)
7. 결혼이민자 인턴 연계 지원
- 대 상 : 구직 등록 결혼이민여성
- 내 용 : 기업 인턴근무 연계, 지원금 지급 등
- 문 의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11개소(☎ 1544-1199)
8. 기관간 취업연계 적극 지원
- 대 상 : 결혼이민여성
- 내 용 : 취업 기초 소양교육 및 취업연계, 구직자 발굴시 e새일시스템과 연계된 워크넷 등록 및 새일센터로 적극 연계 등
- 문 의 : 다문화가족지원 및 가족센터
9. 취업연계 가능 전문자격증 취득과정 운영
- 대 상 : 결혼이민여성
- 내 용 : 운전면허, 제과제빵, 바리스타, 컴퓨터 자격증, 네일 아티스트 양성과정, 아동요리지도사 양성과정 등
- 문 의 : 구·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10. 결혼이민자 생활편의 지원
(1) 국제특송 요금(EMS) 할인 : 부산지방우정청 산하 우체국
- 내 용 : 결혼이민자 모국발송 국제특송 요금의 10% 할인▹외국인등록증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지참
(2) 해외송금 은행수수료 할인 등 : 부산은행
- 내 용 : 해외송금 시 수수료 면제와 환율 80% (USD, JPY) 우대 등 ▹외국인등록증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지참
(3) 재난안전정보 다국어서비스 제공
- 행정안전부재난안전정보제공 앱(Emergency Ready App) : 긴급 재난문자 영어, 중국어로 제공
- 부산글로벌도시재단 글로벌센터 홈페이지 : 방역수칙 등 6개 언어(한, 영, 중, 베, 인니, 러)로 제공
- 부산생활가이드 앱 (Life in Busan) : 재난안전문자 6개 언어(한, 영, 중, 베, 인니, 러)로 제공
11. 긴급 의료서비스 지원
(1) 의료통역 지원 확대
- 대 상 :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과 다문화가족
- 내 용 : 의료기관 이용 시 통역
- 연 어 : 16개 언어(영, 중, 베트남, 몽골, 태국 등)
(2) 긴급의료비 지원
- 대 상 : 국적취득 전 결혼이주여성·자녀, 외국인 근로자·자녀, 난민 등
- 내 용 : 입원, 수술, 이와 연계된 사전·사후 등(수행기관: 6개 병원)
- 문 의 : 부산시 보건위생과(☎ 888-3416)
12. 결혼이주여성 긴급지원 시스템 구축
(1) 이주여성쉼터 : 1개소 (2년 이내, 숙식 제공, 상담, 치료, 출국 지원 등)
(2) 긴급지원센터(다누리콜센터 부산센터) : 1개소(☎ 1577-1366)
- 지원권역 : 부산, 울산, 경남 3개 지역
- 지원언어 : 중국,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러시아 등 13개 언어
- 내 용 : 24시간 Hot-Line, 가정폭력 예방, 보호시설 연계, 통역 지원 등
13. 저소득 다문화가족 무료 종합 건강검진 지원
- 시 기 : 4~5월
- 참 여 : 저소득 다문화가족 100명
- 검진기관 : (재)한국의학연구소 부산센터
- 문 의 : 부산시 여성가족과(☎ 888-1542)
14. 저소득 다문화 한부모가족 양육비 지원
- 대 상 : 저소득 다문화 한부모가족
- 내 용 : 아동 양육비(월 20만원), 중고생 학용품비 지원(연 9만 3천원)
- 문 의 : 구·군 주민센터 상담 및 신청
15. 저소득 다문화 한부모가족 자녀 중고생 교통비 및 초등학생 학용품비 지원
- 대 상 : 저소득 다문화 한부모가족 자녀
- 내 용 : 중고생 교통비(연 38만 4천원), 초등학생 학용품비(연 8만 3천원)
- 문 의 : 구·군 주민센터 상담 및 신청
상호존중에 기반한 다문화 수용성 제고
1. 가족단위 상담 강화
- 대 상 : 다문화가족 구성원
- 내 용 : 다문화가족 부부·부모·자녀관계 개선 및 가족갈등 등 관련 상담 지원
- 문 의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2. 다문화가족 통·번역 서비스 지원
- 대 상 :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 주민 등 개인 또는 기관
- 내 용 : 가족·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 지원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12개소(베트남어)터
3. 가족 내 성평등·인권의식 함양
- 대 상 : 다문화가족 구성원
- 내 용 : 성평등 교육, 인권감수성 향상교육 등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4. 다문화 아빠학교 운영
- 대 상 : 다문화가족 아빠와 초등학생 자녀
- 내 용 : 다양한 체험 활동 및 소통 프로그램 운영
- 문 의 : 부산시 여성가족과(☎ 888-1542)
5. 결혼이민자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대 상 : 결혼이민자
- 내 용 : 비다문화가정과 다문화가정 결연
- 문 의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6. 다문화 이해교육 추진
- 대 상 : 공무원, 일반시민, 시설종사자, 결혼이민자
- 내 용 : 다문화사회, 다문화감수성 제고 특강
- 문 의 : 부산시 여성가족과(☎ 888-1544)
7. 찾아가는 결혼이민자 다이음사업
- 대 상 : 결혼이주여성을 지역사회 활동가로 양성, 학교, 유치원 등 찾아가는 다문화 친화활동 추진
- 채용자격 : 결혼이민자, 한국 거주 2년 이상, 한국어 능력시험(TOPIK 4급 이상)
- 문 의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8. 다문화가족 교류·소통공간 운영
- 내 용 : 다문화가족 간 커뮤니티 활용, 지역사회와의 열린 공간 운영 자조모임 지원, 자녀성장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3개소(북구, 해운대구, 사하구)
9. 제18회 부산 세계시민 축제 개최
- 대 상 : 부산 거주 외국인주민 및 일반시민
- 내 용 : 외국인 주민과 부산시민의 교류·소통을 통한 화합 한마당(식전공연, 개막식, 자매도시 초청공연, 문화체험 부스 운영 등)
10. 글로벌 환경조성 및 세계시민교육
- 대 상 : 세계문화에 관심 있는 부산 거주 초등~대학생 및 일반인
- 내 용 : 각국의 문화, 글로벌 이슈, 2030부산월드엑스포 관련 정보 등
- 문 의 : 부산 글로벌 도시재단(☎ 711-6878)
다문화가족정책 추진 기반 강화
- 사업목적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처우를 개선, 거점센터의 역할을 강화하고, 기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센터 간 상호교류 등을 통해 센터 제공 서비스의 질적 향상 도모
- 사업내용
- 종사자 처우개선 : 시 예산확보를 통해 복지포인트, 시간외수당 지급
- 다문화가족지원 거점센터의 역할 강화
- 체험공예 및 문화체험으로 번아웃(burn-out) 증후군 예방
- 우수사례 공유 등을 통한 업무효율 제고
- 센터 간 지속적 교류ㆍ정보공유를 위한 협력 네트워크 강화 유도
- 추진주체 : 부산시, 남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거점)
다문화가족 현황
2021.11.1. 기준 / (단위 : 명)
다문화가족 현황 표 : 구분, 총계-계,남,여, 결혼이민자-소계, 남, 여, 국적미취득자(계,남,여), 국적취득자(계,남,여), 자녀(계,남,여) 항목으로 구성
구분 |
총계 |
결혼이민자 |
자녀(귀화, 외국국적 자녀 포함) |
소계 |
남 |
여 |
국적미취득자 |
국적취득자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26,808 |
8,587 |
18,221 |
14,040 |
2,152 |
11,888 |
7,340 |
1,354 |
5,986 |
6,700 |
798 |
5,902 |
12,768 |
6,435 |
6,333 |
중구 |
405 |
130 |
275 |
255 |
50 |
205 |
138 |
22 |
116 |
117 |
28 |
89 |
150 |
80 |
70 |
서구 |
827 |
249 |
578 |
463 |
65 |
398 |
227 |
29 |
198 |
236 |
36 |
200 |
364 |
184 |
180 |
동구 |
942 |
309 |
633 |
539 |
98 |
441 |
252 |
43 |
209 |
287 |
55 |
232 |
403 |
211 |
192 |
영도구 |
1,073 |
319 |
754 |
554 |
59 |
495 |
253 |
30 |
223 |
301 |
29 |
272 |
519 |
260 |
259 |
부산진구 |
2,383 |
734 |
1,649 |
1,262 |
160 |
1,102 |
673 |
101 |
572 |
589 |
59 |
530 |
1,121 |
574 |
547 |
동래구 |
1,344 |
414 |
930 |
685 |
87 |
598 |
366 |
56 |
310 |
319 |
31 |
288 |
659 |
327 |
332 |
남구 |
1,856 |
590 |
1,266 |
909 |
131 |
778 |
491 |
87 |
404 |
418 |
44 |
374 |
947 |
459 |
488 |
북구 |
2,197 |
688 |
1,509 |
1,087 |
118 |
969 |
499 |
60 |
439 |
588 |
58 |
530 |
1,110 |
570 |
540 |
해운대구 |
2,839 |
1,071 |
1,768 |
1,450 |
355 |
1,095 |
875 |
274 |
601 |
575 |
81 |
494 |
1,389 |
716 |
673 |
사하구 |
3,225 |
971 |
2,254 |
1,721 |
204 |
1,517 |
845 |
114 |
731 |
876 |
90 |
786 |
1,504 |
767 |
737 |
금정구 |
1,485 |
485 |
1,000 |
790 |
125 |
665 |
397 |
68 |
329 |
393 |
57 |
336 |
695 |
360 |
335 |
강서구 |
1,396 |
449 |
947 |
715 |
126 |
589 |
409 |
84 |
325 |
306 |
42 |
264 |
681 |
323 |
358 |
연제구 |
1,121 |
366 |
755 |
550 |
79 |
471 |
302 |
49 |
253 |
248 |
30 |
218 |
571 |
287 |
284 |
수영구 |
1,260 |
448 |
812 |
674 |
163 |
511 |
416 |
120 |
296 |
258 |
43 |
215 |
586 |
285 |
301 |
사상구 |
2,868 |
845 |
2,023 |
1,551 |
202 |
1,349 |
742 |
136 |
606 |
809 |
66 |
743 |
1,317 |
643 |
674 |
기장군 |
1,587 |
519 |
1,068 |
835 |
130 |
705 |
455 |
81 |
374 |
380 |
49 |
331 |
752 |
389 |
363 |
※ 사하구 > 사상구 > 해운대구 > 부산진구 > 북구 > 남구 > 기장군 > 금정구
* 행정안전부의 최신 자료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자
자료관리 담당자
- 여성가족과
- 한지혜 (051-888-1544)
- 최근 업데이트
-
2023-07-28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