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도자회 활동 지표
- 선진농촌 건설의 선도적 역할
- 과학영농으로 농가소득증대
- 농업인 권익보호 및 복리 증진
- 농촌청소년 및 영농후계자 육성 지도
농촌지도자회 상징

► 흰색바탕 : 백의민족
► S 자 : 평 화
► 녹색 S자 : 푸른들판
► 횃 불 : 농촌발전 선도
평화스러운 녹색혁명을 위해 횃불을 밝힌다.
연혁
- 1947. 4-H구락부 성인자원지도자로 농촌운동에 참여
- 1957. 4-H구락부, 농사개량구락부, 생활개선구락부 등 3개 구락부 핵심 요원으로 활약, 읍면, 시군단위의 자발적인 농촌지도자원봉사단체 조직
- 1962. 농촌진흥법공포이후 정부농촌지도기관과의 상호 필요성에 의한 유대결속, 농민단체로 본격 활동
- 1965. 전국 최초의 농민자생조직(농촌자원지도자연합회)을 읍·면·시·군·도단위로 자생 조직 결성
- 1970. (사)전국농촌자원지도자 중앙회 창립
- 1970. 농업인신문 창간(농촌자원지도자 회보)
- 1973. (사)전국농촌지도자 중앙회로 개칭
- 1976. (사)새마을영농기술자중앙회로 개칭
- 1989. (사)농촌지도자중앙회로 개칭 → 농촌지도자 부산직할시연합회로 개칭
- 1996. (사)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로 개칭 → 농촌지도자부산광역시연합회로 개칭
- 1999. (사)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로 개칭 → 한국농촌지도자부산광역시연합회로 개칭
조직체계 : 2연합회 15지구회 1,000명
활동방향
- 농업 발전 리더로서의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행사 추진
- 농촌지도자회의 세계관을 확장하고 선진 농업기술 국제 교육협력
- 지역 발전에 앞장서는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지역 리더 역할
- 농업인의 위상 확립과 자긍심 고취로 활력있는 농촌사회 조성
주요사업 내용
- 임원 역량강화 교육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을 선도할 농촌지도자회의 발전방안 모색
- 농업현장에서 활용되는 전문기술분야 교육으로 전문특화기술 능력 향상
- 소형 건설기계 조종사 면허 취득 교육으로 농업기계 활용능력 향상 및 농기계 안전 사고 예방
- 농촌환경 오염의 주요원인인 농약 빈병수거등 지역 환경정화 활동을 통하여 깨끗한 들녘 만들기 분위기 확산을 조성
- 지구회 활동 강화로 활력 있는 농촌사회 조성
- 영농캘린더 제작으로 농사정보 전달
- 농업인신문 기자 활동과 모니터링으로 농촌지도자회 활동 홍보
- 체계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정기회의
- 대의원 총회(1.29) 및 운영위원회의: (1차) 3.3. (2차) 5.21. (3차) 9.13.
![]() |
![]() |
![]() |
---|---|---|
치유농업 현장체험교육(힐링팜) | 아열대 과수(애플망고) 재배농가 벤치마킹 |
현장 교육 단체사진 |
![]() |
![]() |
![]() |
농기계 이론 및 안전교육 | 실 습 교 육 | 수료 기념 촬영 |
![]() |
![]() |
![]() |
생활용접교육 | 전기안전 및 활용교육 | 보일러,배관 교육 |
![]() |
![]() |
![]() |
농약빈병수거 활동 | 소화기활동 체험교육 | 재난안전교육 |
향후계획
- 부산농업 경쟁력 향상 및 과학영농을 선도 할 수 있는 농업 인재 육성
- 농업기반과 환경변화에 따른 농업 지킴이의 선도적 역할 확대
- 지역사회 발전 리더로서 농업인 권익보호와 농가소득 증대 기여
- 농업 환경변화에 대응 할 수 있는 미래농업 인재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