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담배연기 없는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 흡연율 감소와 간접흡연 폐해 예방으로 시민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
관련 법
「국민건강증진법」제9조, 제34조 「부산광역시 금연구역 지정 등에 관한 조례」제3조, 제4조(‘11.06.01 개정)
추진 방향
2012년 버스정류소, 해수욕장, 도시공원 1단계 시행 어린이놀이터, 학교절대정화구역 등 점진적 확대 추진 예정 대중매체 홍보 통한 금연인식 제고 및 금연문화 정착
과태료
지정된 금연구역에서 흡연 시 1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금연구역 지정현황
지정구역 | 위 치 | 면적(㎡) |
---|---|---|
버스 정류소 | 연제구 중앙대로 1001 외 | 정류소 시설로부터 10m이내 |
도시철도 | 부산광역시소재 도시철도 | 도시철도 출입구 10미터 이내 |
횡단보도 | 횡단보도 | 횡단보도의 경계선으로부터 5미터이내 |
학교절대보호구역 | 초중고 출입문 | 학교출입문 직선거리 50미터이내 |
송도해수욕장 | 서구 암남동 124-30번지 및 586-4번지선 | 151,741 |
해운대해수욕장 | 해운대구 우동 706 번지 및 중동 1039번지 일원 | 384,517 |
송정해수욕장 | 해운대구 송정동 288번지 및 713번지 일원 | 275,517 |
다대포해수욕장 | 사하구 다대동 397-1 및 511번지선 | 428,608 |
광안리해수욕장 | 수영구 광안동 282-3번지외 12선 | 82,000 |
일광해수욕장 |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115-11번지 및 40-3번지선 | 19,446 |
임랑해수욕장 |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1-53번지 및 145-6번지선 | 13,108 |
어린이대공원 | 부산진구 새싹로 295 일원 | 4,980,530 |
금강공원 | 동래구 온천1동 우장춘로 197번지 일원 | 3,093,953 |
태종대유원지 | 영도구 전망로 24 일원 | 1,793,026 |
용두산공원 | 중구 용두산길 37-55 일원 | 70,812 |
중앙공원 (대청공원, 대신공원 포함) |
서구 서대신동 산2-3 일원 중구 영주동 205-9 일원 동구 수정동 산23-2 일원 부산진구 가야동 산 72번지 일원 |
5,020,657 |
시민공원 | 부산진구 양정, 연지, 범전동 일원 | 473,279 |
전체 금연구역 대상시설 안내
국민건강증진법 제9조 제4항 관련
구분 | 장소 |
---|---|
대형음식점(150㎡이상) |
|
대형건축물(연면적 1,000㎡이상) |
|
게임방 · PC방 *2013년 6월 8일부터 시행 |
|
대규모점포, 지하도 상점가 |
|
학원(연면적 1,000㎡이상), 학교교과교습학원 | - |
공연장(객석 수 300석 이상) |
|
체육시설(관객 수 1,000명 이상 수용) |
|
사회복지시설 |
|
의료기관 |
|
학교(교사와 운동장 등 모든 구역) |
|
관광숙박업소 |
|
청소년이용시설 |
|
목욕장 | - |
만화대여업소 | - |
어린이 놀이시설 | - |
공공기관 청사, 도서관 | - |
교통시설 |
|
2012.12.8일부터 금연구역대상시설이 확대 되었습니다
- 대형음식점 45평 이상, 대형건축물 연면적1,000㎡ 이상
- 대규모점포(대형마트,백화점,쇼핑센터) 지하도 상점가
- 학원(연면적1,000㎡ 이상), 학교교과교습학원
- 공연장(객석 수 300석 이상) : 극장, 영화관, 음악당
- 체육시설(관객 수 1,000명 이상 수용) : 운동장, 체육관, 체육시설
- 사회복지시설(양로시설, 요양시설, 아동시설, 모자보호시설)
- 의료기관 : 병원, 진료소, 보건소
- 학교(교사와 운동장 등 모든 구역)
- 관광숙박업소 : 호텔, 휴양 콘도미니엄
- 청소년이용시설 :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 게임방 · PC방(2013.6.8시행) - 2013.12.31까지 계도기간 (2014.1.1부터 단속)
- 목욕장
- 어린이 놀이시설
- 공공기관 청사, 도서관
- 교통시설 : 공항, 여객부두, 철도역, 여객자동차터미널 교통관련대합실, 승강장, 어린이운송용 승합자동차
※ 금연대상 시설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지 않는 시설의 소유자 · 점유자 : 50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
※ 금연구역으로 지정한 시설에서 흡연을 한자 : 과태료 10만원 이하
- 2013년 7월 1일부터는 단속되며, 과태료 부과권자는 관할 구청장 · 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