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697 대연동
- 관리기관
- 남구 공원녹지과
- 구조
- 화강석
- 건립취지
- - 세계 유일의 유엔기념공원을 평화공원으로 조성, 2005년 APEC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참전국 인사들의 방문에 대비, 공원시설 및 기반시설을 정비하여 국제도시 부산 이미지 제고.
- 묘지 인접 지역에 난립되어 있는 혐오시설을 정비함으로써 UN기념묘지의 존엄성 증대 및 도시경관 조성.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820-2 대연동
- 관리기관
- 남구 문화체육과
- 구조
- 화강석
- 건립취지
- - 6·25전쟁에 참전하여 산화한 UN군의 영령이 안치된 세계유일의 UN기념공원을 세계 평화, 자유의 상징으로 부각시켜 국제적 관광명소로 가꾸기 위해.
- 한국전쟁 50주년 특별기획 UN기념공원 국제조각심포지엄(2000. 9. 5. ~ 9. 30)에 참여한 6·25 참전 21개국의 조각가들이 자유·평화·통일을 주제로 조각 작품을 제작.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820-2 대연동
- 관리기관
- 남구 문화체육과
- 구조
- 화강석
- 건립취지
- - 6·25전쟁에 참전하여 산화한 UN군의 영령이 안치된 세계유일의 UN기념공원을 세계 평화, 자유의 상징으로 부각시켜 국제적 관광명소로 가꾸기 위해.
- 한국전쟁 50주년 특별기획 UN기념공원 국제조각심포지엄(2000. 9. 5. ~ 9. 30)에 참여한 6·25 참전 21개국의 조각가들이 자유·평화·통일을 주제로 조각 작품을 제작.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820-2 대연동
- 관리기관
- 남구 문화체육과
- 구조
- 청동
- 건립취지
- - 6·25전쟁에 참전하여 산화한 UN군의 영령이 안치된 세계유일의 UN기념공원을 세계 평화, 자유의 상징으로 부각시켜 국제적 관광명소로 가꾸기 위해.
- 2002. 12. 27. UN조각공원 소공원 조성 사업시 한국 작가작품 위주로 추가 조성 배치.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820-2 대연동
- 관리기관
- 남구 문화체육과
- 구조
- 화강석
- 건립취지
- - 6·25전쟁에 참전하여 산화한 UN군의 영령이 안치된 세계유일의 UN기념공원을 세계 평화, 자유의 상징으로 부각시켜 국제적 관광명소로 가꾸기 위해.
- 한국전쟁 50주년 특별기획 UN기념공원 국제조각심포지엄(2000. 9. 5. ~ 9. 30)에 참여한 6·25 참전 21개국의 조각가들이 자유·평화·통일을 주제로 조각 작품을 제작.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온천동 134-7 임진동래의총진입부우측
- 관리기관
- 동래구 문화시설사업소
- 구조
- 석재
- 건립취지
- - 제3회 대한민국 온천대축제 개최기념으로 온천장 예술의 거리 윤슬길을 조성하면서 설치함.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131-1번지 금강연못밑 금강공원비 옆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금강공원사업소)
- 구조
- 자연석
- 건립취지
- 〈비문내용〉 정묘년(1867년 고종4년)에 나 동쪽으로 오니, 이 고을 백성과 물자가 번성하구나, 주민은 모두 태평한 시절을 즐기고 있지만, 늙은 태수만이 폐단 막은 공적이 없네, 붉은 연꽃 연못 루대에서는 달을 노래하고, 푸른 버들 성곽에서는 술집 깃발 날린다네, 계림의 옛이야기 의연히 남아 있으니, 만파식적 피리 아직도 소리가 들리는구나, 커다란 바다 옆의 높다란 성곽에는, 백년 동안 변방의 봉화불 조용했었지, 조정에선 나를 목민관으로 삼았지만, 치적이야 어찌 옛사람과 같을 수 있나, 감히 관대한 정치로 풍속을 교화한다 하겠는가, 오랑케와 이웃이 되었다고 말하기도 부끄럽네, 임금의 은헤 갚지 못한 채 몸은 덧없이 늙어가고, 옥 피리와 매화꽃에서 또 봄을 보내는구나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282번지 금정사 옆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금강공원사업소)
- 구조
- 화강석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3-2번지 일원 동래읍성지 북문 안쪽
- 관리기관
- 문화공보과
- 구조
- 대리석
- 건립취지
- - 이 비석은 1731년(영조7년) 동래부사 정언섭이 임진왜란 때 폐허가 된 동래읍성을 대대적으로 축조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그 내력을 적어 1735년(영조11년)에 세운 것입니다.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131-1번지 금강연못위 우측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금강공원사업소)
- 구조
- 자연석
- 건립취지
- 금강원은 금정산 연봉(連峰) 남쪽이 다하는 곳에 있다. 산을 등지고 골짜기를 끼고, 기이한 바위들이 쌓여있으며 푸른 소나무가 울창해서 별천지에 노니는 것과 같다. 소화(昭和) 6년(1931) 부산의 동원가차랑(凍原嘉次廊)군이 가지고 있던 동산과 못을 개방하고 누각의 문을 설치해서 거금을 투자하여 경영이 자못 순조로웠다. 금년에 황기(皇紀)2600년을 맞이하여 전 동산을 들어 본읍(本邑)에 기증했다. 읍에서는 이것을 칭찬하고 정리하고 확장하여 , 산성 동남쪽 양문으로 통하는 회유(回遊)하는 숲길과 함께 온천공원을 만들어 유람관광의 명승지를 만들려고 한다. 이에 기념비를 세우고 유래를 새겨서 이것을 후손들에게 전하고자 하노라 황기 2600년 소화 15년(1940) 11월 10일 동래읍장 종칠위 산구 정
조형물 정보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 051-888-5045
- 최근 업데이트
- 2024-09-24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