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재지
- (48952)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 83, 앞 보도 (광복동1가)
- 관리기관
- 중구 안전도시과 (도시정비계)
- 구조
- 마천석 + 브론즈 가공
- 건립취지
- - 광복로 시범가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중구를 대표하는 문화의 거리로 거듭나기 위해 시범가로 내에 예술성있는 조형물을 거리갤러리 형식으로 설치하여 지역주민과 방문객들에게 문화적 휴식공간과 볼거리 제공.
-
- 소재지
- (48948)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 51, 앞 보도 (창선동1가)
- 관리기관
- 중구 안전도시과 (도시정비계)
- 구조
- 마천석 + 브론즈 가공
- 건립취지
- - 광복로 시범가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중구를 대표하는 문화의 거리로 거듭나기 위해 시범가로 내에 예술성있는 조형물을 거리갤러리 형식으로 설치하여 지역주민과 방문객들에게 문화적 휴식공간과 볼거리 제공.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1가 5-2 흑교사거리
- 관리기관
- 부산광역시 중구청
- 구조
- 사각기념비에 세모받침대
- 건립취지
- 복개천 밑으로 흐르는 시내는 그 물빛이 보석같이 맑다하여 보수천이라 하였고 이곳에 놓였던 통나무다리를 검정다리(흑교)라 불렀다. 검정다리란 이름은 썩지 않게 하기위해 통나무 겉부분을 까맣게 태운데서 유래되었고, 애국지사들이 검은 수의를 입고 옥살이를 한데서 왔다고 한다.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4가 33-2 40계단테마거리
- 관리기관
- 문화관광과(문화시설계)
- 구조
- 스텐레스 스틸, 청오석
- 건립취지
- - 우리나라 최초의 상업방송 전파를 발송되었던 것을 기념하고 그 자리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205-9 중앙공원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중앙공원)
- 구조
- 오석, 화강석
- 건립취지
- 한국전쟁으로 인해 국가의 운명이 위기에 놓였을 때 조국과 민족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이 땅에 평화의 뿌리를 내리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 우리 고장 6.25 참전 유공자들의 고귀한 호국정신과 애국심을 후세에 영원히 기리기 위해 광복 제60주년을 기념하여 건립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4가 37-32 40계단 입구
- 관리기관
- 중구 문화관광과(시설운영계)
- 구조
- 대리석
- 건립취지
-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의 애환과 향수가 담겨있는 40계단을 추억하기 위해 기념비 설치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218-20번지 중앙공원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중앙공원사업소)
- 구조
- 화강석
- 건립취지
- - 4월 혁명 당시 부산에서 많은 사람들이 독재 정권의 총탄에 쓰러졌다. 이탑은 돌아가신 분들의 넋을 위로하고 민주주의와 정의를 지키려는 숭고한 정신을 이어가고자 시민들이 모금하여 1962년 용두산 공원에 조성하였으며 2007년 2.15. 4.19영령 봉안실과 함께 민주공원 입구로 이설되었다.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삼동 산 113-4 동삼동 삼거리 국민은행옆
- 관리기관
- 주씨문중
- 구조
- -
- 건립취지
- - 고 봉우공(奉佑公)은 선친의 병환이 깊어 약을 구하여 간호해도 별차도가 없자, 선친의 변을 혀로 핥아 병환의 차도를 식별하면서 약을 조제하였다. 그 후 편모가 병환을 얻자 병환에 해삼이 좋다는 말을 듣고 구하려 했지만 실패하여 통곡하고 있으니 어디서 갈매기 떼가 많아 그곳에 가보니 해삼이 있어, 이를 복용하자 어머님이 완쾌하였다고 전한다.
-
- 소재지
- 부산 영도구 동삼동 177-11 태종대아랫길 미니공원 내
- 관리기관
- 영도구
- 구조
- 석조(화강석)
- 건립취지
- - 핵가족화와 물질만능주의의 팽배로 날로 희박해져가는 효의 정신을 다시금 일깨우고 효를 인간행실의 근본으로 널리 권장하고자 건립.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대교동 1가 190-1 영도대교 입구
- 관리기관
-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 구조
- 노래비, 동상, 음향장치, 조경․조명시설/ 재질 : 거창석, 고흥석, 브론즈
- 건립취지
- ○ 1919년 우리구 영선동에서 출생하여 2002년 4월13일 타계 하신 가수 현인(본명 현동주)선생의 업적을 기념하고, 시민의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며 ○ 6.25동란 당시 실향민들의 애절한 사연의 무대가 되었던 영도 대교와 당시 유행했던 대중가요『굳세어라 금순아』의 시대적 배경을 담아 우리 민족의 삶과 추억을 되새기고 후세에 역사적 교훈을 주기위해 설치된 노래비임.
조형물 정보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 051-888-5045
- 최근 업데이트
- 2024-09-24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