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문화 가족이 행복할 수 있도록 부산이 함께합니다.
- 우리시에서는 한국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다문화가족의 조기 정착 및 안정적 생활 지원으로 사회통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 현 황 : 13개소 ▹ 다문화가족지원센터(6개소),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7개소)
- 주요사업 : 다문화가족 및 자녀 교육·상담, 통·번역 및 정보제공, 역량강화 지원 등 종합적인 서비스 제공
- 거점센터: 남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여성회관)
한국어교육 지원
- 대 상 : 결혼이민자, 중도입국자녀 등
- 운 영 : 3개과정(정규과정, 중도입국자녀과정, 심화과정) ▹ 16개 구・군별 위탁운영
다문화가족 자녀 성장 지원
1. 다문화 청소년 글로벌 캠프
- 대 상 : 다문화청소년(중학생 1~2학년)
- 방문국가 : 결혼이민자의 주요 출신국가(베트남, 중국, 일본, 필리핀 등)
- 내 용 : 현지 청소년 교류, 자원봉사활동, 기업 • 시설 방문, 역사탐방 등
2. 다문화가족 자녀 방문학습 지원
- 대 상 : 만 3세~초등학생 이하 자녀
- 내 용 : 전문학습지 교사가 방문하여, 취학 전·후 아동 한국어 및 초등 기초과목 교육 지원
3. 다문화 아빠학교 운영
- 대 상 : 다문화가족(아빠와 초등학생 자녀)
- 내 용 : 다문화 자녀와 아빠와의 다양한 체험 및 소통 프로그램 운영
4. 대학생-다문화자녀 문화멘토링
- 대 상 : 다문화가족 자녀, 부산거주 대학생(한국인, 외국인유학생)
- 운 영 : 다문화 자녀와 대학생(한국인 1, 유학생 1)을 한 팀으로 구성, 문화체험 및 진로상담 등
다문화가족 생활・복지 지원
1. 다문화가족 생활지원 사업
- 국제특송요금(EMS) 할인 : 부산지방우정청 산하 우체국
- 내용 : 결혼이민자 모국발송 국제특송요금의 10% 할인 ▹외국인등록증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지참
- 해외송금 은행수수료 할인 등 : 부산은행
- 내용 : 해외 송금 시 수수료 면제와 환율 80% (US $, J PY) 우대 등 ▹외국인등록증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지참
2. 다문화가족 종합건강검진 지원
- 대 상 : 저소득 다문화가정 100명
- 내 용 : 무료 종합건강검진 제공
- 시행기관 : 우리 시와 협약한 의료기관( (재)한국의학연구소 부산센터)
3. 결혼이주여성 긴급지원 시스템 구축
- 이주여성쉼터 : 1개소
- 내용 : 2년이내, 숙식제공, 상담, 치료, 출국지원 등
- 긴급지원센터(다누리콜센터 부산센터) : 1개소(☎1577-1366)
- 내용 : 24시간 Hot-Line, 가정폭력 예방, 보호시설연계, 통연 지원 등
- 지원권역 : 부산, 울산, 경남 3개 지역
- 지원언어 : 중국,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러시아
4. 결혼이민자 생활 · 행정서비스 지원
- 운 영 : 시청 내 결혼이민자(베트남 출신) 상담 근무
- 내 용 : 통역 지원 및 생활,행정 상담 등, 월~금요일 10:00~15:00 (☎051-888-1544)
결혼이주여성 사회・경제적 진출 확대
1. 결혼이주여성 학력신장사업 지원
- 대 상 : 검정고시 학력취득 희망 결혼이주여성
- 내 용 : 검정고시 대비 교육반 운영 지원으로 결혼이주여성의 학력신장
2. 결혼이주여성 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 대 상 : 취업연계 교육 희망 결혼이주여성
- 내 용 : 기업 구인수요가 높은 직종에 대한 취업연계 교육훈련과정 운영(호텔객실관리사 등)
- 시행기관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4개소(☎1544-1199)
3. 결혼이민여성 인턴제 운영
- 대 상 :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 구직 등록한 결혼이민 여성
- 내 용 : 인턴근무 신청접수, 연계, 채용지원금 지급, 상담, 취업알선
- 시행기관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11개소(☎1544-1199)
다문화가족 현황
(2018년 11월 1일 기준)
구분 | 총계 | 결혼이민자 | 자녀 | ||||||||||||
---|---|---|---|---|---|---|---|---|---|---|---|---|---|---|---|
소계 | 남 | 여 | 국적미취득자 | 국적취득자 |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
계 | 23,392 | 7,294 | 16,098 | 12,620 | 1,802 | 10,818 | 6,949 | 1,108 | 5,841 | 5,671 | 694 | 4,977 | 10,772 | 5,492 | 5,280 |
중구 | 367 | 111 | 256 | 245 | 47 | 198 | 150 | 22 | 128 | 95 | 25 | 70 | 122 | 64 | 58 |
서구 | 757 | 224 | 533 | 441 | 61 | 380 | 232 | 29 | 203 | 209 | 32 | 177 | 316 | 163 | 153 |
동구 | 817 | 239 | 578 | 490 | 75 | 415 | 255 | 34 | 221 | 235 | 41 | 194 | 327 | 164 | 163 |
영도구 | 1016 | 293 | 723 | 552 | 61 | 491 | 285 | 33 | 252 | 267 | 28 | 239 | 464 | 232 | 232 |
부산 진구 |
2,168 | 664 | 1,504 | 1,168 | 139 | 1,029 | 651 | 82 | 569 | 517 | 57 | 460 | 1,000 | 525 | 475 |
동래구 | 1,119 | 333 | 786 | 588 | 69 | 519 | 326 | 40 | 286 | 262 | 29 | 233 | 531 | 264 | 267 |
남구 | 1,694 | 540 | 1,154 | 844 | 115 | 729 | 473 | 80 | 393 | 371 | 35 | 336 | 850 | 425 | 425 |
북구 | 1,984 | 613 | 1,371 | 999 | 99 | 900 | 491 | 42 | 449 | 508 | 57 | 451 | 985 | 514 | 471 |
해운 대구 |
2,348 | 890 | 1,458 | 1,242 | 298 | 944 | 741 | 216 | 525 | 501 | 82 | 419 | 1,106 | 592 | 514 |
사하구 | 2,866 | 862 | 2,004 | 1,555 | 185 | 1,370 | 826 | 108 | 718 | 729 | 77 | 652 | 1,311 | 677 | 634 |
금정구 | 1,357 | 413 | 944 | 749 | 102 | 647 | 429 | 61 | 368 | 320 | 41 | 279 | 608 | 311 | 297 |
강서구 | 1,046 | 327 | 719 | 568 | 92 | 476 | 353 | 60 | 293 | 215 | 32 | 183 | 478 | 235 | 243 |
연제구 | 974 | 319 | 655 | 506 | 74 | 432 | 289 | 43 | 246 | 217 | 31 | 186 | 468 | 245 | 223 |
수영구 | 1,096 | 382 | 714 | 618 | 150 | 468 | 369 | 108 | 261 | 249 | 42 | 207 | 478 | 232 | 246 |
사상구 | 2,554 | 708 | 1,846 | 1,400 | 148 | 1,252 | 715 | 92 | 623 | 685 | 56 | 629 | 1,154 | 560 | 594 |
기장군 | 1,229 | 376 | 853 | 655 | 87 | 568 | 364 | 58 | 306 | 291 | 29 | 262 | 574 | 289 | 285 |
※ 사하구 >사상구 >해운대구 >부산진구 >북구 >남구 >금정구 >기장군
※ 2018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현황(행정자치부 승인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