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췌 : Delotte Analysis, 2015
국내ㆍ외 원전해체 산업 현황 및 및 전망
본격적인 노후화
전세계적으로 가동 연수 30년 이상 된 원전이 전체의 51%에 육박하면서 본격적인 노후화 단계로 진입
- 주로 원전을 조기에 적극 도입한 유럽 및 북미의 선진국들과 일본의 노후화 수준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됨
운전해체 니즈 및 수요증가 전망
이러한 노후화 추세에 따라, 향후 원전 해체에 대한 니즈 및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노후 원전 및 영구정지 비율이 높은 국가들을 중심으로 원전해체에 대한 니즈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국내 해외진출 방안마련 필요
향후 원전해체 시장은 2110년까지 약 368조, 연평균 약 3.9조원의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국내 원전 해체 산업의 해외 시장 경쟁력 확보 방안을 조속히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됨
- 시기별로는 20개국의 128개 원전 해체가 시작되는 시장 개화기(’15~’24년)를 거쳐 전세계 221개 원전이 본격적인 해체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급속 성장기(’25~’39년)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 됨
- 따라서, 국내 원전해체 산업의 해외진출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임
- 주요 공정별로는 해체준비 및 관리(106조), 절단 및 해체와(112.7조)폐기물 처리 및 관리(94조) 분야가 주요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됨
전세계 원전 현황
- 전세계적으로 588개의 원전이 건설되었으며, 이는 현재 가동중인 438개의 원전과 다양한 사유로인하여 영구정지된 150개의 원전으로 구분됨

가동 원전 현황
- 전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 438기 중, 가동연수가 30년 이상 된 원전의 비중이 51%에 육박하는것으로 나타나, 전세계 원전은 본격적인 노후화 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국가별 가동 원전 현황
- 국가별로 30년 이상 가동 중인 원전의 수와 비중을 분석해 본 결과, 주로 유럽 및 북미의 선진국들과 아시아 권역에서는 일본의 노후화 수준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음

영구정지 원전 현황
- 현재 영구정지 상태에 있는 전세계 150개의 원전 중 단 19개 원전이 해체 완료 되었으며, 131개의 원전이 해체 진행 중에 있거나 해체 예정인 것으로 파악됨

영구정지 사유 및 영향
- 일반적으로 원전의 영구정지 사유는 크게 경제성 저하, 정치적 결정, 안전 관련 이슈 및 사고 등으로 구분되어 지며, 영구정지 사유에 따라 원전해체 전략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됨

요약
- 전세계 원전 보유국 현황을 다각도로 분석해 본 결과, 원전을 초기에 적극 도입했던 유럽 및 북미의 일부 선진국들은 이미 본격적인 해체가 진행 중에 있으며, 노후 원전을 다수 보유한 러시아, 프랑스,일본 등의 원전해체에 대한 니즈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전세계 원전해체 시장규모 전망
- 향후 원전해체 시장은 2110년까지 약 368조의 사장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되며, 연평균 3.9조원 규모의 원전해체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됨

전세계 원전해체 시기별 전망
- 전세계 원전해체 시장은 개화기를 거쳐 2025년경 급속 성장기에 진입 후, 약 50년간 180조원의 본격적인 해체 시장 선점을 놓고 글로벌 원전해체 기업들 간의 치열한 경쟁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다라 국내 원전해체 산업의 해외진출 방안 마련이 조속히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전세계 원전해체 시장규모 국가별 전망
- 국가별로는 현자 가동 중인 원전이 가장 많은 미국이 83조원 규모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외에 영국, 프랑스, 일본 등을 필두로 상위 10개국이 전체 시장의 약 86%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 됨

원전해체 주요 공정 단계별 전망
- 각 공정 별 누적 시장규모는 다음과 같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