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관리법 개정으로 2009. 3. 29.부터 자동차종합검사(정기, 정밀)로 일원화 : 관리부서 - 택시운수과
대도시 대기오염의 주요원인인 배출가스를 엄격하게 관리하기 위한 제도로 대기환경규제지역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시는 기장군을 제외한 전지역에 등록된 자동차가 해당됨.
※ 운행차 배출가스 정밀검사에 관한 조례제정·공포 [제4006호,'05. 5. 4.] 2005. 7. 1.부터 시행.
※ 서울시 '02.5.20., 인천시 '03.3.1., 경기도 '03.4.1., 대구시 '04.7.1.부터 시행.
정밀검사 주기 및 방법
- 검사 주기는 비사업용 차량 2년, 사업용 차량 1년마다 정기검사와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받음
- 검사 방법은 자동차가 실제 달리는 상태를 재현하여 배출가스를 측정하는 부하검사와 5.5톤 이상, 4륜구동 차량은 무부하검사를 실시함
- 특히, 경유차량은 광투과식 매연측정, 엔진최대출력 등을 검사하여 정확성을 확보하였음.
운행차 정밀검사 대행기관
- 정밀검사는 교통안전공단 자동차 검사소인 해운대, 사하, 주례 검사소와 민간 종합검사 지정 정비 사업자에서 받으시면 됨.
정밀검사 부적합자동차
- 배출가스 관련부품을 정비 및 점검하고 재 검사를 받아야 함.
- 정밀검사 기간 내에 부적합 판정 받은경우 : 부적합 판정을 받은 날부터 정밀검사기간 만료후 5일 이내
- 정밀검사 기간 이후 부적합 판정 받은경우 : 부적합 판정을 받은 날의 다음날부터 5일 이내
검사유효기간연장
- 자동차의 도난/사고/압류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 정밀검사 부적합 받은 자동차 중 폐차조건, 부품수급차질로 정비가 불가능한 경우
정밀검사기간내에 검사를 받지 않을 경우
- 정밀검사를 받아야 하는 기간만료일부터 30일 이내인 경우는 2만원
30일 초과한 경우는 매2일 초과 시마다 1만원의 과태료부과 (최고 30만원) - 검사를 받지 않는 자동차 소유자는 200만원이하의 벌금 부과
종합검사에 관한 문의
- 택시운수과 (☎ 051-888-4044), 기후대기과 (☎ 051-888-3554), 각 구청 자동차관리부서, 국번없이 128, 시·구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