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한눈에보는 투자환경

부산광역시 투자유치 보조금 지원제도(표지) 모든 산업이 이상적으로 공전하는 투자의 최적지 부산 기업 성장을 위한 부산의 약속
		전국 최고 수준의 투자진흥기금 조성 1,780억원
		투자보조금 최대 333억원 까지 지원
		지속적인 지원제도 개선
		지원유형 신설 : 시역내 이전기업, 녹색산업기업 등
		지식서비스산업 보조금 대폭 상향 : 한도액 7억원 → 100억원
		역내이전기업 지원요건 완화 : 상시고용인원 30명 → 20명
		역대 최대규모의 투자유치
		2020년 : 2,815억원
		2024년 : 6조 3천억원
		2030년 : 10조원 목표 우수한 인적자원 및 기업지원 생태계 구축
		331만명의 정주인구
		- 풍부한 인적자원 보유 
		- 대학 : 22개, 학생 211천명
		대도시기반 생활환경
		- 수준 높은 교통 · 생활 인프라
		- 편리하고 쾌적한 그린스마트 도시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지원
		- 일자리 맞춤 프로그램 운영
		- 부산형 지산학 협력체계 구축 최적의 교통 · 물류 인프라
		트라이포트를 통해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하는 Busan
		공항
			- 24시간 안전 운영 가능한 세계적 규모의 관문 공항 건설(가덕신공항)
			- 2시간 비행거리 이내 세계인구 25% 거주(중국, 일본 등)
		항만
			- 150여개국 500여개 항만과 연력
			- 세계 7위 컨테이너 물동량
			- 세계 2위 환적항만
		철도
			- 철도물류의 중심지
			- 전국 교통망의 기종점 완벽한 산업기반 조성, 부산형 기회발전특구 지정
		산업단지 5,008만㎡
		조성완료 : 29개, 조성중 : 10개, 계획중 : 3개
		기회발전특구 지도 이미지 기회발전특구 지도 이미지 부산의 산업단지(5,008만㎡면적)
		조성완료
		산단명/위치/유치업종/문의처(051)
		생곡 / 강서구 생곡동 / 자원순환특화관련산업, 메카트로닉스(일반기계)관련산업 /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 979-5325
		국제산업물류도시(1단계) / 강서구 미음동, 녹산동 / 1차 금속제조, 물류, 운송장비, R&D 등 /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 979-5325
		미음 / 강서구 미음동 / 메카트로닉스, 일렉트로닉스 등 /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 979-5325
		신호 / 강서구 신호동 / 자동차 및 트레일러, 기계 및 조립금속 / 부산경제진흥원 서부지소 600-1832
		화전 / 강서구 신호동, 화전동 / 1차 금속제조,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 / 부산경제진흥원 서부지소 600-1832
		모라 / 사상구 모라동 / 지식산업, 정보통신산업 등 / 부산경제진흥원 서부지소 600-1832
		풍상 / 강서구 지사동 / 금속가공제품, 비금속 광물 제품 등 /  부산경제진흥원 서부지소 600-1832
		지사2 / 강서구 지사동 / 금속가공, 기타기계 및 장비 등 /  부산경제진흥원 서부지소 600-1832
		부산과학 / 강서구 지사동 / 메카트로닉스, 신소재, 정보통신, 정밀화학 등 /  부산경제진흥원 서부지소 600-1832
		강서보고 / 강서구 지사동 / 바이오산업, 전자산업, 운송장비업 등 /  부산경제진흥원 서부지소 600-1832
		성우 / 강서구 지사동 /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등 /  부산경제진흥원 서부지소 600-1832
		정주 / 강서구 지사동 / 목제 및 나무 제품 제조업 /  부산경제진흥원 서부지소 600-1832
		지사글로벌 / 강서구 지사동 / 금속가공제품제조업 등 /  부산경제진흥원 서부지소 600-1832
		동부산 E-PARK / 기장군 장안읍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등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오리 / 기장군 장안읍 / 식음료, 금속, 운송장비 등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에코장안 / 기장군 장안읍 / 섬유,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전기장비 등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부산신소재 / 기장군 장안읍 / 전기장비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반룡 / 기장군 장안읍 / 목재 및 나무제품관련 제조업, 전자부품 등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장안 / 기장군 장안읍 / 자동차부품, 전기, 전자기계, 장비 기타제조 등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기룡 / 기장군 장안읍 / 음료 및 식료품업 등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기룡2 / 기장군 장안읍 / 조립금속, 1차 금속 제조 등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정관일반 / 기장군 정관읍 / 섬유 · 화학, 청강, 기계, 운송장비, 기타제조 등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정관코리 / 기장군 정관읍 / 1차 금속,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정관농공 / 기장군 정관읍 / 섬유, 화학, 기계금속, 기타 제조업 등 / 부산경제진흥원 동부지소 728-8047
		회동석대 / 금정구 회동동, 해운대구 석대동 / 전자부품, 전기장비, 기타기계, 운송장비 / 부산경제진흥원 센텀지소 742-8701
		센텀시티 / 해운대구 재송동, 우동 / 지식 및 정보통신, 문화산업 등 /  부산경제진흥원 센텀지소 742-8701
		명례 / 기장군 장안읍 / 금속제조, 금속가공, 전기장비, 운송장비, 기타기계장비 / 명례산업단지관리공단 915-7772
		명지녹산 / 강서구 송정동 / 섬유, 의복, 석유화학, 조립금속, 기계 등 / 한국산업단지공단 070-8895-7842
		서부산스마트밸리 / 사하구신평동, 장림동, 다대동 / 도금, 피혁, 염색, 기계부품, 일반제조업 등 / 서부산스마트밸리 관리공단 205-0209, 한국산업단지공단 070-8895-7861 조성중
		산단명 / 위치 / 면적(만㎡) / 사업기간 / 유치업종 / 문의처(051) / 비고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 기장군 장안읍 / 148 / `12 ~ `25 / 의료, 수송장비 등 원자력 의과학 관련 업종 / 부산광역시 산업입지과 888-4922 / 일반산단
		에코델타시티 / 강서구 대저동, 명지동 / 55 / `15 ~ `25 / 지식산업, 문화산업, 정보통신산업, 첨단산업 등 / 부산광역시 미래혁신기획과 888-2855 / 도시첨단
		사상재생사업지구 / 사상구 주례동, 감전동, 학장동 / 302 / `15 ~ `30 / 제조업, 융합부품산업, 지식문화산업 등 / 부산광역시 미래혁신기획과 888-2772 / 일반산단
		산양 / 사하구 다대동 / 5 / `09 ~ `25 / 1차 금속, 기타기계 및 장비제조업 / 부산광역시 산업입지과 888-4924 / 일반산단
		명동 / 강서구 지사동 / 51 / `09 ~ `25 / 메카트로닉스 /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 979-5154 / 일반산단
		강서해성 / 강서구 지사동 / 12 / `17 ~ `25 / 금속가공제품,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부산광역시 산업입지과 888-4921 / 도시첨단
		금곡 / 북구 금곡동 / 5 / `20 ~ `26 / 지식산업, 정보통신산업, 첨단업종 / 부산광역시 산업입지과 888-4932 / 도시첨단
		센텀2지구 / 해운대구 반여동, 석대동, 반송동 / 191 / `16 ~ `32 / 지식산업센터, R&D센터, 창업지원센터 등 / 부산광역시 산업입지과 888-4942 / 도시첨단
		명서 / 강서구 지사동 / 12 / `23 ~ `26 / 1차금속 제조업 등 / 부산광역시 산업입지과 888-4921 / 일반산단
		연구개발특구 / 강서구 대저동 / 174 / `12 ~ `30 / R&D, 첨단산업 등 / 부산광역시 미래혁신기획과 888-2814 / 일반산단
		계획중
		산단명 / 위치 / 면적(만㎡) / 사업기간 / 유치업종 / 문의처(051) / 비고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 강서구 강동동 / 139 / `20 ~ `28 / 전기, 전자, 유통시설 등 / 부산광역시 미래혁신기획과 888-2811 / 일반산단
		명동2 / 강서구 지사동 / 25 / `24 ~ `27 / 1차금속제조업 등 / 부산광역시 산업입지과 888-4924 / 일반산단
		동부산 E-park(2단계) / 기장군 장안읍 / 114 / `25 ~ `29 / 이차전지, 전력반도체 / 부산광역시 산업입지과 888-4924 / 일반산단 
		부산 도심융합특구
		지역/업종 : 해운대구 반여동 일원(센텀2지구) / 지식산업, 문화산업, 정보통신산업, 첨단제조업 등
		인프라 : 주변 산업단지 인프라와 연계, 고속도로 및 도시철도 인접, 주요도심 인접 등
		산업 : 스마트 친환경 선박, 로봇·지능형 기계분야 제조혁신 공간 조성, ICT 융합 허브밸리 조성
		주거 : 창업지원주택, 산업단지형 행복주택 등 주거지원 등
		문화 : 복합문화공간, 청년활동 지원을 위한 거점공간 조성 등
		지원사항 : 혁신산업 임시허가, 실증 및 규제 / 주택공급 / 학교 및 교육과정 운영 특례
		에코델타시티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역/업종 : 강서구 명지동 일원(16.7만평) / 첨단업종, 지식문화정보통신
		인프라 : 부산신항만, 김해국제공항, 신항배후철도 등 우수한 광역교통체계, 주거·레저·문화가 어우러지는 복합수변공간 조성 등
		인센티브 : -(취득세) : 50% + 25%(조례) 감면
		-(재산세) : 5년 75% 감면 
		부산형 기회발전특구
		인센티브
		법인·소득세 : 창업·신설 시 면제(5년) + 50%(2년)
		취득·재산세 : 
		- 수도권에서 특구(비수도권)로 기업이전시 취득세 100% (조례 50%포함) 감면, 재산세 5년 100% + 5년 50%(조례) 감면
		- 특구 내 창업시 취득세 100%(조례 50% 포함), 재산세 5년 100% + 5년 50%(조례)감면
		- 공장 신·증설 시 취득세 75%(조례 25%포함), 재산세 5년 75%감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지원비율 가산(5~10%p)
		1. 금융기회발전특구 `24.6월 지정
		 지역/업종 : 문현금융단지 및 북항 2단계(23만평) / 금융, 블록체인 등
		 인프라 : BIFC 3단계 조성, 인근 대규모 주거단지(9,500세대) 개발 등
		 추진내용 : 디지털금융 산업·인재 육성, 성장투자 및 연관산업 기능 강화, 해양·파생금융 혁신, 정책금융기관 직접 등
		2. 기장군 기회발전특고 `24.12월 지정
		 지역/업종 : 동남권 방사선의과학산단 등(47만평) / 전력반도체, 이차전지, 자동차부품 등
		 인프라 : 인근 신도시 정주시설 조성, 13개 대학 45개 관련학과 연 2,400명 공급
		 추진내용 : 전력반도체 클러스트 구축, 차세대 전력반도체 인프라 확충, 부산특화 기술개발 지원, 전문인력 양성 체계 구축 등
		3. 강서구 기회발전특구 `24.12월 지정
		 지역/업종 :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미음지구(10만평) / 이차전지, 자동차부품 등
		 인프라 : 공항, 항만, 신도시 인접, 도시철도 3개선 건설 중
		 추진내용 : 배터리 산업 혁신기반 조성, 소재 및 공정장비 산업 육성, 배터리 특화분야 육성, 현장 맞춤형 인재양성 및 R&D 지원 등
		4. AI제조·로봇 기회발전특구 지정준비중
		 지역 : 에코델타시티 1단계 부지 일대(약 50만평) 
		투자의 가치가 실현되는 도시 부산 
		투자유치를 위한 보조금 지원
		투자진흥기금 : 최대 330억원(대규모투자, 역내이전, 신·증설, 시역내이전, 컨택센터, 지식서비스산업, 녹색산업
		지방투자촉진보조금 : 최대 333억원(신·증설, 수도권이전, 상생형지역일자리)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depart/ecnmahattraction
		찾아가기: 홈 ▶ 분야별정보 ▶ 경제 ▶ 투자·통상 ▶ 투자통상 ▶ 기업유치 
		부산시 투자진흥기금 지원제도
		지원구분 / 지원자격 / 지원금액 / 비고
		대규모투자 / ·투자금액 2,000억원 이상 또는 상시고용인원 200명 이상 / 최대 330억원 / 설비투자비의 14%이내 *고용보조 최대 30억원
		역내이전 / ·상시고용인원 20명 이상 / 최대 100억원 / 부지매입비의 20%이내, 설비투자비의 20%이내 *고용보조 최대 9억원
		신설·증설 / ·기존 상시고용인 20명 이상, ·투자사업장 신규 고용인원 20명 이내 / 최대 59억원 / 설비투자비의 20% 이내 * 고용보조 최대 9억원
		시역내 이전 / ·상시고용인원 20명 이상 * 부지, 건축물 연면적, 고용 등의 규모 2배 이상 확장시 지원 / 최대 100억원 / 부지매입비의 20% 이내, 설비투자비의 20% 이내 *고용보조 최대 9억원
		녹색기술 · 녹색산업기업 / ·기존 상시고용인원 10명 이상, ·투자사업장 신규 고용인원 10명 이상 / 역내이전 및 신·증설 기업에 맞춰 지원 ·역내 이전 : 입지(50억원) + 설비(50억원) 이내 ·신·증설 : 50억원 이내 / 부지매입비의 20% 이내, 설비투자비의 20% 이내 *고용보조 최대 9억원
		지식서비스산업 / ·시역 안으로 이전 또는 신·증설 경우, ·기존 상시고용인원 10명 이상 ·투자사업장 상시고용인원 10명 이상 / 최대 100억원 *고용보조금 별도 / 입주보조(매입 30%, 2년임대 전액 이내) & 시설장비보조(30% 이내) *고용보조 한도 없음(신규고용 1인당 500만원, r&d 인력은 1인당 1,000만원)
		컨택센터 / ·시역 안으로 이전 또는 신·증설 경우, ·기존 상시고용인원 20명 이상 ·투자사업장 상시고용인원 10명 이상 / 최대 10억원 *고용보조금 별도 / 입주보조(매입 15%, 1년임대 50% 이내) & 시설장비보조(30% 이내) *고용보조 한도 없음(50명 초과시 1인당 200만원)
		
		※ 지원업종 : 부산시 전략산업, 지식서비스산업, 컨택센터, 신성장동력산업, 첨단기술 및 첨단제품 수반사업, 녹색산업, 소재·부품·장비산업, 첨단업종
		※ 지원불가 : 부동산업(매매, 중개, 임대), 건설업, 소비성서비스업, 무점포판매업 및 해운중개업이 포함된 경우이거나 시역내 투자사업장을 매입, 인수 또는 합병하여 단순히 소유관계가 변경된 경우 
		산업부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제도
		지원구분 / 지원자격 / 지원금액 / 비고
		신설·증설 / ·기존 상시고용인원 10명 이상 ·투자사업장 신규 상시고용인원이 기존사업장 상시고용인원 10% 이상(최소 10명) / 최대 333억원 / 설비투자보조(균형발전지역구분에 따라 비율 상이) *고용인센티브 *지역특성화업종 설비 추가 보조
		수도권이전 / ·기존 상시고용인원 30명 이상 ·이전 후 투자사업장 고용인원 30명 이상  ·투자완료 전 기존사업장 폐쇄 또는 매각 / 최대 333억원 / 설비투자보조, 입지투자보조 (균형발전지역구분에 따라 비율 상이) *고용인센티브 *지역특성화업종 설비 추가 보조
		상생형지역 일자리 / ·투자사업장 신규 신규 고용인원 10명 이상 ·기존 사업장 유지 / 최대 333억원 / 설비투자보조(균형발전지역구분에 따라 비율 상이) *고용인센티브 *지역특성화업종 설비 추가 보조
		
		산업부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범위		
		지원구분 / 보조금 유형 / 지원비율(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균형발전상위지역(강서구, 기장군, 해운대구) / 
		입지 / - / 토지매입비의 5% 이내 / 토지매입비의 9% 이내
		설비 / 설비투자액의 4% 이내 / 설비투자액의 6% 이내 / 설비투자액의 8% 이내
		균형발전중위지역(금정구, 남구, 동래구, 부산진구, 북구, 사상구, 사하구, 수영구, 연제구, 중구) / 
		입지 / - / 토지매입비의 15% 이내 / 토지매입비의 30% 이내
		설비 / 설비투자액의 6% 이내 / 설비투자액의 8% 이내 / 설비투자액의 10% 이내
		균형발전하위지역(동구, 서구, 영도구) / 
		입지 / - / 토지매입비의 25% 이내 / 토지매입비의 40% 이내
		설비 / 설비투자액의 9% 이내 / 설비투자액의 12% 이내 / 설비투자액의 15% 이내
		
		※ 신규고용인센티브 : 신규 고용인원에 따라 설비보조금 지원비율 최대 10% 가산
		※ 지역특성화업종 : 대기업 3%, 중견기업 5%, 중소기업 10% 가산
		※ 구조고도화단지 · 에너지산업융합복합단지 · 경제자유구역 · 소재부품장비산업특화단지 · 첨단투자지구 · 준공 후 미분양 산업단지 입주 : 2% 가산
		※ 상생형지역일자리 기업 : 대기업 3%, 중견기업 5%, 중소기업 10% 가산
		※ 기화발전특구 입주 : 대기업(설비) 5%, 중견기업(설비·입지) 8%, 중소기업(설비·입지) 10% 가산
		※ 지원업종 : 제조업, 정보통신산업, 지식서비스산업
		※ 제외업종 :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 60조 (호텔업, 여관업, 주점업, 오락·유흥, 부동산, 건설업, 소비성서비스업, 무점포판매, 해운중개업)
		* 인센티브 한도 20% 가산 지원 가능, 단, 기회발적특구 내 투자기업(중소)은 30% 가산 지원 가능
		
		지역특성화 업종
		구분 / 분류코드 / 업종명
		특성화 지정업종(6) / 
		29111 / 내연기관 제조업
		29131 / 액체 펌프 제조업
		31111 / 강선 건조업
		31112 / 합성수지선 건조업
		31113 / 기타 선박 건조업
		31114 / 선박 구성 부분품 제조업
		유치 희망업종(44) / 
		2110 / 기초 의약 물질 및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2130 /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 관련 제품 제조업
		2611 / 전자직접회로 제조업
		2612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 소자 제조업
		2629 / 기타 전자 부품 제조업
		2719 / 기타 의료용 기기 제조업
		2811 / 전동기, 발전기 및 전기 변환장치 제조업
		2928 / 산업용 로봇 제조업
		3031 / 자동차 엔진용 신품 부품 제조업
		3032 / 자동차 차체용 신품 부품 제조업
		3033 / 자동차용 신품 동력 전달장치 및 전기장치 제조업
		3039 / 자동차용 기타 신품 부품 제조업
		3131 /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장치 제조업
		5821 /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5822 /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6399 / 그 외 기타 정보 서비스업
		7212 /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지식서비스산업의 범위
		해당업종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39
		도매 및 상품중개업 / 46
		전자상거래업 / 47911
		통관 대리 및 관련 서비스업 / 52991
		서적, 잡지 및 기타 인쇄물 출판업 / 581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582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업 / 5911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 관련 서비스업 / 5912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 59201
		전기통신업 / 612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 62
		정보서비스업 / 63
		연구개발업 / 70
		법무관련 서비스업 / 711
		회계 및 세무관련 서비스업 / 712
		광고업 / 713
		시장조사 및 여론조사업 / 714
		경영컨설팅업 / 71531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 72
		수의업(獸醫業) / 731
		전문디자인업 / 732
		번역 및 통역서비스업 / 73902
		사업 및 무형 재산권 중개업 / 73903
		물품감정, 계량 및 견본 추출업 / 73904
		그 외 기타 분류안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73909
		사업시설 유지관리 서비스업 / 74100
		보안시스템 서비스업 / 75320
		콜센터 및 텔레마케팅 서비스업 / 75991
		전시 및 행사 대행업 / 75992
		신용조사 및 추심 대행업(신용정보를 수집·제공하는 사업만 해당한다) / 75993
		포장 및 충전업 / 75994
		온라인 교육 학원(기술 및 직업훈련 교육을 제공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 85503
		기술 및 직업훈련학원 / 8566
		병원 / 861
		의원 / 862
		기타 보건업(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원격의료 및 요양 서비스만 해당한다) / 869
		
		지원절차
		이렇게 신청하면 됩니다
		신청개요
		신청조건 : 부산광역시와 투자양해각서 또는 이에 상응하는 협약 등을 체결한 기업
		신청기간 : · 설비보조금을 신청하는 경우 착공신고일로부터 3개월 · 입지보조금을 포함하여 신청하는 경우에는 입지(변경)계약 체결일로부터 1년(단, 착공신고일로부터 3개월이 먼저 도래하는 경우 착공신고일로부터 3개월)
		절차 :
		 1 사업(투자) 계획(안) 협의 (기업 ↔ 부산광역시)
		 2 사업타탕성 검토(부산광역시 내부)
		 3 투자양해각서 체결(시의회 동의 이후) (부산광역시 ↔ 기업)
		 4 사업(투자) 계획서 및 기금 지원 신청서 제출(기업 → 부산광역시)
		 ※ 보조금 신청시 타당성 평가 60점 이상 조건임
		! 이런 경우는 신청 및 지원이 제한됩니다
		 1 보조금을 지원받아 투자진행중인 기업
		 2 선행투자 정산결과 투자금액 달성률 또는 고용인원 달성률 중 어느 하나가 70% 미만이거느 사업이행기간 고용인원 평균 달성률이 50% 미만인 경우
		 3 「형법」,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등 관련규정을 위반하여 환수 처분을 받은 경우
		 4 직전 사업연도 재무상태효 기준 부채비율 500% 이상이거나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있는 기업 
		이렇게 수행하면 됩니다
		투자진흥기금
		투자진흥기금 운용심의위원회(부산시) → 보조금교부(70% 지급)(부산시) → 투자수행(3년 이내) *지식서비스산업, 컨택센터 : 2년(기업) → 보조금 정산(30%지급) ◀ 회계법인 정산 검증(부산시) → 사업이행(5년) *지식서비스산업, 컨택센터 : 2년(기업) → 사업완료 ◀ 완료점검(부산시)
		※ 부산광역시 기업 및 투자유치 촉진 조례 및 동 조례 시행규칙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보조금 심의위원회(산업부) → 보조금교부(70% 지급)(산업부 · 부산시) → 투자수행(3년이내)(기업) → 보조금정산(30%지급)◀회계법인 정산 검증(산업부 · 부산시) → 사업이행(5년)(기업) → 사업완료◀완료점검(산업부 · 부산시)
		※ 지방자치단체의 지방투자기업 유치에 대한 국가의 재정자금 지원기준(산업부 고시)

		문의| 
		지식서비스기업 051.888.4457
		역내이전기업 051.888.4458
		신설·증설기업 051.888.4455
		수도권 이전기업 051.888.4455
		컨택센터 051.888.4447 
		도시비전 및 목표
		부산 먼저 미래로 그린스마트 도시 부산
		내게 힘이되는 시민행복도시
		 · 15분 도시 부산 조성 사업 확산
		 · `들락날락` 및 `HAHA`센터 조성
		 · 찾아가는 스마일 모빌리티 헬스케어 서비스 확대
		 · 공공의료체계 구축
		세계와 함께하는 글로벌허브도시
		 · 영어하기 편한도시 조성
		 · 가덕도신공항 건설 및 해상스마트도시 건설
		지산학이 주도하는 창업금융도시
		 · 부산기술창업투자지원 신설
		 · 아시아창업엑스포 `FLY ASIA` 개최
		 · 지산학 협력체계 고도화
		미래를 선도하는 디지털혁신도시
		 · 디지털 융합 창의인재 양성
		 · 부산 빅데이터혁신센터 설립
		 · 제조업 디지털 전환 혁신클러스터 구축
		 · 도심 내 창업혁신공간 조성
		친환경 기술로 앞서가는 저탄소그린도시
		 · 부산지역 환경 맞춤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 맥도 100만평 그린시티 조성
		 · 친환경 대중교통 서비스 확충
		누구나 찾고싶은 문화관광매력도시
		 · 세계적 미술관 유치 및 부산오페라하우스 건립
		 · 생활체육 천국도시 구현
		 · 반려동물 친화도시 조성
		
		글로벌 도시 순위
		· 스마트 도시지수 아시아 2위·세계12위
		 2025년 지엔사 SCI(`21년 세계 62위)
		· 아름다운 해변도시 글로벌 5선
		 2024년 뉴욕타임즈
		· 삶의 질 지수(2년 연속) 아시아 6위
		 2024년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 유닛(EIU)
		· 금융도시지수 세계 24위
		 2025년 지엔사 GFCI(`21년 세계 36위)
		· 도쿄·상하이보다 높은 여행 만족도
		 2025년 트립어드바이저 데이터 기반
		 
		부산 브랜드 가치
		· 시민행복지수(특-광역시) 1위
		 2023년 국회미래연구원(`20년 8위)
		· 청년 삶의 질 지수(특-광역시) 1위
		 2023년 국회미래연구원
		· 아동 삶의 질 지수 1위
		 2024년 세이브더칠드런·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 도시브랜드 국내 도시 1위
		 2025년 2월 기준, 기업평판연구소
		 (`22.9. ~ `23.7. 11개월 연속 전국 1위)
		· 60대 이상 삶의 만족도 개선
		 2024년 부산사회조사 평균 6.0점(`20년 평균 5.7점)
		· 마이스산업 선도도시
		 2024년 산업정책연구원(IPS) 국가산업대상
		 2024년 벡스코 전시장 가동률 역대 최대(63%) 
		부산시 투자유치 성과
		기회와 자본이 만나는 곳, 부산
		르노코리아 / LS ELECTRIC / coupang / 삼성중공업 / 효성 / 농심 / 다이소 / HJ 중공업 / LEENO / 한화오션 / 롯데쇼핑 / 메리츠증권 / 한화파워시스템 / LX / 바이넥스 / PANASIA / 고모텍주식회사 / ZION ENTECH / DN SOLUTIONS / SOCIAL BEAN / BGF 리테일 / Dt&C / HWASEUNG / 대우제약 / Web cash / BMT / EYEQ LAB / DN AUTOMOTIVE / ORIENTAL / WINS / IEN HANCHANG / DOUZONE 
		Invest in Busan, Grow with Busan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지식서비스기업 051.888.4457
		역내이전기업 051.888.4458
		신설·증설기업 051.888.4455
		수도권 이전기업 051.888.4455
		컨택센터 051.888.4447
		Busan is good 부산이라 좋다
		부산광역시 투자유치과
		(47545)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 051.888.4451 ~ 4458(컨택센터 4447)

자료관리 담당부서

투자유치과
051-888-4458
최근 업데이트
2025-09-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