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조형물 정보

  • 마음을 담은 토기 썸네일

    [동래구]마음을 담은 토기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542-34
    관리기관
    복천박물관
    구조
    스테인레스 스틸, 아크릴 우레탄 도장, 목재
    건립취지
    가야시대의 토기를 발굴현장에서 찾아내어 조각조각 맞춘 듯한 형상을 네거티브하게 구성한 작품이다. 토기 안의 가는 선들은 크랙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 지역의 작은 골목길들 작품 형상화한 것으로 토기가 이 지역에서 만들어지고 사용되어졌다는 작품이다. 토기 작품의 몸체에 앉을 수 있도록 의자를 설치하여 사람들이 작품을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가야시대가 철기문명의 발신지임을 착안하여 전체적으로 녹슨 철의 색을 사용하여 가야의 가장 우수한 기술력 중 하나였던 철기와 토기의 형상을 작품에 공존시켰다.
  • 칠두령 썸네일

    [동래구]칠두령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11
    관리기관
    복천박물관
    구조
    콘크리트, 벽돌, 목재, 도자타일
    건립취지
    칠두령의 본래의 주술적 의미와 권위적 가치보다는 칠두령의 조형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 하였다. 약간은 미래 지향적인 구성을 택하였고 복천동의 역사적 가치와 출토물의 주류를 이루는 철기와 토기의 느낌을 담고자 하였다. 또한 감상용의 구조물로서만 아니라 어린이의 놀이터와 벤치 기능을 적용하여 시민들이 쉴 수 있는 스트리트 퍼니처(Street Funiture)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 복천동 수호신 썸네일

    [동래구]복천동 수호신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49-60
    관리기관
    문화공보과
    구조
    스테인레스 스틸
    건립취지
    오늘날의 복천동을 지켜주면서 액을 막아주는 수호신이란 의미로서 태양 빛을 받으며 은색 광채를 발하는 두 마리 말을 표현한 작품이다. 복천동박물관에 소장된 가야 유물가운데 말과 관련된 부장품이 많았던 점에 착안한 것이다. 복천동 일대를 누볐던 옛 가야인들의 기상과 용맹을 상상하며 그들의 모습을 두 마리의 말로 환생시켰다.
  • 복천동 매화 썸네일

    [동래구]복천동 매화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49-31
    관리기관
    문화공보과
    구조
    스테인레스 스틸, 아크릴 우레탄 도색
    건립취지
    동래구의 구화인 매화를 이미지화하여 수묵화적 느낌을 반영한 작품이다. 나뭇가지로부터 매화가 바람에 흩날리는 시적인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회색빛 축대이지만 햇살이 가득한 장소를 선택하여 복천동 마을에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고자 한 작품이다.
  • 선인장 썸네일

    [동래구]선인장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49-31
    관리기관
    문화공보과
    구조
    스테인레스 스틸, 아크릴 우레탄 도색
    건립취지
    열악한 자연환경 속에서도 자생하는 선인장의 생명력과 강인함을 나타낸 작품이다. 도로변 옹벽시멘트위에 야생하는 선인장과 조화를 이루어 복천동에 이미 있었던 듯 경관에 어울리는 조형물이다. 옹벽에서 입체감 있게 펼쳐진 선인장은 복천동의 오랜 역사성과 미래의 생명력을 상징하기도 한다.
  • 집이 낳은 집 썸네일

    [동래구]집이 낳은 집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49-43
    관리기관
    문화공보과
    구조
    스테인레스 스틸, FRP, 아크릴 우레탄 도색
    건립취지
    옹기종기 모여 사는 복천동 마을의 집을 모티브로 한 작품이다. 작은 창문은 사람의 눈이 되고, 물탱크는 호기심 많은 형태로 표현되며, 녹색의 나무는 개나 고양이의 형상이다. 실제의 집과의 비교해서 보는 이로 하여금 동화적 재미와 삶의 여유를 갖도록 의도하고 있다. 집이란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어쩌면 가장 중요한 정신적 육체적 안식처이다. 나는 사람을 집으로 비유했고, 집과 집을 통해서 정신적 유대감을 표현하고자 했다.
  • 꽃 속에서 썸네일

    [동래구]꽃 속에서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46-3
    관리기관
    문화공보과
    구조
    스테인리스 스틸, 아크릴 우레탄 도장
    건립취지
    복천동의 따뜻한 햇살 속에서 피어나는 꽃들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가야문명이 번성했던 복천동은 따스한 햇살과 맑은 공기를 가진 오래된 삶의 터전이다. 작품설치공간은 삭막한 담벼락이지만 복천동에서 가장 햇살이 오래 머무는 곳이다. 복천동은 자연의 혜택을 받는 삶의 터전으로 과거와 현대가 공존하는 공간, 그리고 찬란한 역사와 새로운 희망이 공존하였으면 바라는 공간, 여전히 따스하고 정(情)이 넘치는 삶의 공간임을 ‘꽃’이라는 생명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 찬란한 문화유산 썸네일

    [동래구]찬란한 문화유산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50
    관리기관
    복천박물관
    구조
    스테인레스 스틸, FRP, LED조명
    건립취지
    복천동 고분에서 출토된 항아리, 그릇받침, 접시, 이형토기 등의 형태를 이용하여 박물관 주차공간에 작품 가로등을 설치함으로써 역사적인 장소를 부각시키고 현대적 감각과 예술적 표현을 통해 현대적으로 문화공간화한 작품이다. 실제로 가야시대에 등불로 사용되었던 토기를 중심에 배치하여 상징성을 부여하고 토기 조명 등을 디자인하였다. 정면은 높낮이를 조정하여 리듬감과 생명감을 부여하였으며, 측면에서는 좌우에서 중심으로 모이면서 앞으로 전진하는 약동감을 강조하였다. 고분출토유물의 형태를 낮에는 파스텔톤으로 감상하고 밤에는 빛나는 가로등으로 탄생하여 찬란했던 가야문화를 상징하여 복천동을 밝혀준다.
  • 학소대 썸네일

    [동래구]학소대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48-20
    관리기관
    문화공보과
    구조
    청화분청 타일
    건립취지
    동래구의 ‘학소대’라는 역사적 장소를 매개삼아 유유자적 노닐고 있는 학 5마리를 형상화하였다. 학의 형태를 다소 과장하고 해학적으로 구성하였으며 학의 형상을 이루는 세부 타일에는 나무와 구름, 물고기와 강아지 등 다른 공간에서 생존하는 생명체를 공존시켜 현대사회의 소통과 화합의 소중함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생명의 근원인 나무, 화난 듯 웃는 듯한 물고기, 하늘을 나는 긴 팔다리의 사람들 등 상상의 나래 속에서 자유롭게 어울리는 정겨운 모습을 통해 과거와 현재, 역사와 예술이 경계없이 소통하길 원하는 바램을 나타내었다.
  • 침묵의 소리 썸네일

    [동래구]침묵의 소리

    소재지
    (47874)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로 55-32, 부산아시아드 조각광장 (사직동)
    관리기관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구조
    재질 - 철
    건립취지
    2002 부산아시안게임 등의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조성.

자료관리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051-888-5045
최근 업데이트
2024-09-24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