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조형물 정보

  • 미완 의 얼굴 = 생각 의 흐름 썸네일

    [중구]미완 의 얼굴 = 생각 의 흐름

    소재지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205-9 중앙 조각공원 (중앙공원내)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중앙공원)
    구조
    작품 : 상주석 좌대 : 하부받침석
  • 대지의 역동 썸네일

    [중구]대지의 역동

    소재지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205-9 중앙 조각공원 (중앙공원내)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중앙공원)
    구조
    작품 : 고흥석 좌대 : 황등석
  • 낙 타 - 시간의 지평에 서다 썸네일

    [중구]낙 타 - 시간의 지평에 서다

    소재지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205-9 중앙 조각공원 (중앙공원내)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중앙공원)
    구조
    작품 : 스테인레스 스틸, 좌대 : 고흥석,검은색 화강석
  • 최천택 선생 기념비 썸네일

    [중구]최천택 선생 기념비

    소재지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205-9 중앙 조각공원 (중앙공원내)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중앙공원)
    구조
    황동
    건립취지
    ○최천택선생 기념비 소정 최천택선생은 1896년6월1일 부산시 동구 좌천동에서 태어났다. 선생은 어린시절부터 민족의식이 강해 조선독립을 위해 일제와 맞서 싸웠고, 8ㆍ15광복 이후에는 민족자주와 통일을 위해 싸운 열렬한 독립투사였다. 부산상업학교(일제하) 재학시절부터 동국역사(조선사)책을 등사하여 학우들에게 배포하다가 일경에 발각되어 구금된 것을 시작으로 1945년 8ㆍ15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무려 54회라는 기록적인 구속ㆍ구금이 되어 모진 고문을 받았다. 비밀결사대인 구세단 조직을 비롯해서, 생명을 담보한 독립 결사대인 의영단 활동, 3ㆍ1만세운동, 광주학생항쟁에도 부산지역 학생대표로 참가했으며, 박재혁의사와 함께 민족운동의 통일 전선체인 신간회 부산지부 부회장으로 활동하다 지회장에 피선되어 민족운동의 지도자로 헌신했다. 광복은 되었으나, 그토록 그리던 조국통일을 보지 못하고 1962년 11월 17일 향년 6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우리 후대들은 선생이 남긴 민족자주정신과 불굴의 민족정기를 교훈으로 이어받아 후세교육의 산교육장으로 삼고자 이 비를 세운다. 2009년 3월 5일 김홍주
  • 순직선원추모비 썸네일

    [영도구]순직선원추모비

    소재지
    영도구 동삼동 산 29-1번지 태종대유원지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
    구조
    대리석(6기)
    건립취지
    조국을 떠나 멀리 양양한 푸른 파도를 헤치며 원양어로 작업 중 불의의 사고로 이억만리 타국에서 세상을 떠난 바다 개척자의 넋을 위로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
  • 노래비 썸네일

    [영도구]노래비

    소재지
    영도구 동삼동 1017번지 태종대유원지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
    구조
    화강석
    건립취지
    태종대유원지의 대외적인 홍보와 관광객 볼거리 제공을 위하여 설치함
  • 공원 상징조형물 썸네일

    [부산진구]공원 상징조형물

    소재지
    부산진구 초읍동 43번지 어린이대공원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
    구조
    스테인레스스틸, 우레탄도색, LED변환조명, 상주석 등
    건립취지
    “확장하는 꿈” ◇ 어린이들의 현실과 꿈, 그리고 미래를 향한 사고의 확장을 의미 ◇ 대중 공원인 점을 감안하여 격조 높은 예술적 현대적 조형미 뿐만 아니라 랜드 마크적 성격을 추구
  • 만남의광장 시계탑 썸네일

    [부산진구]만남의광장 시계탑

    소재지
    부산진구 초읍동 43번지 어린이대공원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
    구조
    화광석
    건립취지
    공원 이용객의 편의 중진과 시민 휴식처로 정비가 완료된 “만남의 광장(구 성지랜드)”을 널리 알라기 위해 시계탑 조형물을 무상기증 받음
  • 고태국 음악비 썸네일

    [부산진구]고태국 음악비

    소재지
    부산진구 초읍동 43번지 (학생교육문화회관 광장)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
    구조
    화강석
    건립취지
    부산을 무대로 합창운동을 왕성하게 전개했던 고 고태국교수의 음악사랑의 높은 정신과 빛나는 업적, 그리고 교육자로서의 고매한 인격을 두루 추념하기 위해 음악비를 세우고자 한다.
  • 시비 썸네일

    [부산진구]시비

    소재지
    부산진구 초읍동 43번지 (옥천약수터)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
    구조
    화강석 음각

자료관리 담당자

문화예술과
임수정 (051-888-5045)
최근 업데이트
2023-08-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