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경과
- 2006. 2 : 「2010 대중교통혁신 PLAN」 ▹ 준공영제 도입 최초로 공식 선포
- 2006. 5 :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협약서 체결(시내버스 간 무료환승제 시행)
- 2007. 4 : 시내버스 준공영제 운영지침 제정
- 2007. 5 :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시내버스+도시철도 환승할인제 시행)
- 2008. 7 : 대중교통 통합환승제 시행(시내버스+도시철도+마을버스)
- 2015. 7 : 대중교통 무료환승제 시행(200원 무료)
- 2019. 1 : 시내버스 준공영제 운영에 관한 조례 제정(2018.3월) 및 시행
부산시, 2007년 5월 15일부터 시행 중
- 서울과 유사한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 시행
- 실태조사를 통한 노선 감축 등 노선개편 실시
- 도시철도, 마을버스와의 무료환승 확대 시행
※ 타시도 시행 : 서울(2004. 7. 1), 대전(2005. 7. 4), 대구(2006. 2. 19), 광주(2006. 12. 21), 인천(2009. 2. 26)
운영현황
- 대상 : 33개 업체, 144개 노선 2,511대
- 운송수지 현황
(단위:억원)
구 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3년 대비 |
---|---|---|---|---|---|---|---|
운송수입(A) | 4,634 | 4,893 | 4,667 | 4,479 | 4,388 | 4,228 | △8.8% |
운송비용(B) | 5,924 | 6,076 | 5,892 | 5,690 | 5,783 | 5,869 | △0.9% |
운송적자액(A-B) | 1,290 | 1,183 | 1,225 | 1,211 | 1,395 | 1,641 | 증27.2% |
재정지원액 | 1,334 | 1,268 | 1,263 | 1,270 | 1,129 | 1,134 | △15% |
누적 미지급액 | △358 | △273 | △235 | △176 | △442 | △949 | 증165% |
※시내버스간 무료환승(2006), 시내버스+도시철도 환승할인제(2007), 무료환승(200원) :2015(시내버스 ↔ 도시철도 ↔ 마을버스)
세계 대중교통 요금

※ 교통카드 기준 : 부산·서울(1,200원), 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1,25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