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열회수를 강화하자 (2억230만$ 절감)
- 폐열회수를 강화방법
- 보일러에 폐열회수장치(공기예열기, 급수가열기, 절탄기)를 설치하자.
- 에너지사용설비의 요구온도를 파악하여 단계별 열이용을 실시하자.
- 폐열회수용 열교환기의 적정한 선택으로 폐열회수를 극대화하자.
- 효과분석
- 건물(가정, 상업)에서 사용하는 연료량 : 3,307만 TOE
- 폐열량은 전 사용량의 40% : 1,654 만 TOE
- 이중 8%만 회수할 경우 : 132만 TOE
- 절약 가능금액 : 2,677억원
- 건물(가정, 상업)에서 사용하는 연료량 : 3,307만 TOE
- 연간 에너지수입비용 절감 : 2억 2,308만 달러
- 84만TOE × $169/toe = 2억 2,308만 달러
적정용량의 전동기와 고효율 전동기, 모터절전장치를 설치하자 (2억1450만$ 절감)
- 빌딩에서 냉각수의 순환이나 배기팬 등 모터를 신규설치 할 때 흔히 실제로 필요한 용량보다 과잉용량을 설치한 경우가 많다. 이 전동기를 적정용량으로 바꾸어 에너지를 절약하자.
- 일반전동기보다 효율이 5%정도 높은 고효율전동기로 교체하자.
- 전력 사용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적정량의 전력만 투입되는 모터 절전장치를 부착하자.
- 효과분석(산업체 포함, 고효율 전동기 교체)
- 고효율 전동기 교체가능용량(96년도 기준) : 33,937MW
- 고효율 전동기 절전율(5%)감안 연간 절전량 : 5,077천MWh
- 연간 가동시간 4,274시간, 부하율 70%
- 연간 전력절감비용 : 2,909억원
- 연간 에너지수입비용 절감(산업체 포함, 고효율 전동기 교체) : 2억 1,450만 달러
- 5,077,000MWh/년 × 0.25(환산계수) × $169/toe = 2억 1,450만 달러
- 효과분석(산업체 포함, 모터절전장치 설치)
- 모터절전장치 설치가능용량(96년도기준) : 11,887MW
- 절전장치 절전율(15%)감안 연간 절전량 : 5,312천MWh
- 연간 가동시간 4,274시간, 부하율 70%
- 연간 전력절감비용 : 3,044억원
- 연간 에너지수입비용 절감(산업체 포함, 모터절전장치 설치) : 2억 2,443만 달러
- 5,312,000MWh/년 × 0.25(환산계수) × $169/toe = 2억 2,443만 달러
태양열 이용설비를 설치하자 (3194만$ 절감)
- 급탕 및 국부난방 등 가벼운 열사용설비는 태양열이용설비로 대체하여 쓰자.
- 효과분석
- 태양열 온수기 보급이 50만대 증가할 경우
- 1대당 연간 기름 420ℓ절감, 420ℓ × 500,000대 = 2억 1천만ℓ
- 2억 1천만 ℓ × 518원 = 1,088억원 절감
- 연간 에너지수입비용 절감 : 3,194만 달러
- 2억1천만 ℓ × 1/1000 × 0.09(환산계수) × $169/toe = 3,194만 달러
최대전력 감시 및 제어장치를 설치하자
- 최대전력 감시제어장치(DEMAND Controller)를 설치하여 예정된 전력부하 이상의 전력사용을 억제하여 절전효과와 최대전력초과에 따른 전기료를 절약하자
- 여름철 계약전력 500kWh이상 상용건물 6,019개 소중 10%인 602개소에 최대 전력 감시제어장치를 설치할 경우 월 20,700kWh 절감가능
- 20,700kWh × 75,400원/kWh (계약기본요금) × 12월 = 13억 4,100만원
역률개선용 콘덴서는 부하측에 설치하자
- 수변전설비에서 역률을 개선할 목적으로 콘덴서를 부착할 경우 반드시 부하단말에 설치하여 선로 손실을 줄이자.
냉동기는 가스흡수식이나 빙축열 이용기기를 설치하자
- 전기식 냉방기는 에너지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흡수식이나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빙축열설비를 설치하자.
축열조를 이용하는 심야전력을 사용하자
- 심야전력은 한전에서 국가 에너지의 효율적이용 차원에서 싼 전기요금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심야전력을 이용한 난방 및 급탕설비를 설치하자.
냉각수 수질관리를 철저히 하자
- 냉각수원의 수질관리를 철저히 하여 순환수관의 스케일을 최소화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전열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순환모터의 동력을 절약하자.
냉각팬 회전은 냉각수 온도에 따라 제어하자
- 냉각탑의 순환수 온도에 따라 냉각팬 회전수를 제어하여 전력을 절감하자 (2% 정도 절전)
에어컨의 필터, 냉각코일의 청소를 철저히 하자 (211만$ 절감)
에어컨의 공기흡입측에 설치된 필터가 오염되면 공기순환에 지장을 초래하여 전력사용을 증가시키고 냉각코일의 오염은 전열효과를 저하시키므로 청소를 철저히 하자.
- 효과분석
- 에어컨 필터 청소시 5%절전
- 1.5kWh 용량 에어컨을 하루 4시간 연 30일 사용할 때(전국 560만대 보급기준)
- 1.5kWh × 4시간 × 30일 × 560만대 × 5% = 5,000만kWh
- 5,000만kWh × 100원 = 50억원 절감
- 에어컨 필터 청소시 5%절전
- 연간 에너지수입비용 절감 : 211만 달러
- 5,000만kWh × 1/1000 × 0.25(환산계수) × $169/toe = 211만 달러
차광(브라인드)커튼을 설치하자
- 남향건축의 경우 여름에 태양광을 차단해 줄 수 있는 차광커튼을 설치하여 냉방비를 줄이자.
공조기 운전방식을 가변풍량 방식으로 하자
- 실내 상태(실온, 습도, 오염정도)에 따라 필요한 공기만을 유입시키는 가변풍량방식 (V.A.V, Variable Air Volume)을 채택하여 에너지를 절약하자.
공조기 필터를 철저히 청소하자
- 공조기는 공기흡입측에 설치한 필터에 분진이 누적되면 흡입통풍기에 부하가 상승하여 전력사용이 증가하고 세균이 번식되므로 시기를 정해놓고 주기적으로 청소하자.
팬 코일의 개폐는 일괄제어방식으로 하자
- 방열기(팬코일, 라디에이터)의 설치는 사용자 개별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실수로 낭비되는 에너지를 막기 위하여 중앙 제어방식으로 일괄 조정이 가능토록 하자.
공조기는 배기열 회수방식을 채택하자
- 중앙 냉·난방 제어를 하는 건물은 배기열 회수를 위하여 배기열 회수기를 설치하자. (회전식, 히트파이프식 열교환기 등)
엘리베이터는 격층 운행하고 4층 이하는 걸어서 다니자
- 아파트나 빌딩에서는 에너지 절약과 건강을 위하여 4층 이하는 계단을 이용하도록 하자.
엘리베이터의 닫힘버튼을 누르지 말자
- 엘리베이터의 격층 운행은 각 층 운행에 비해 정지·출발시 들어가는 에너지를 반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아파트에서는 이용시간이 한정되어 있고 낮시간에 운행이 적어 4.2% 정도의 절전효과가 나지만 업무 시설 및 근린·판매시설은 10%가까이 절전이 가능하다.
- 에너지 절약과 건강을 위해 4층 이하는 걸어다니도록 합시다.
- 엘리베이터의 닫힘 버튼을 누르는 것 자체는 절전효과가 없지만 엘리베이터에서 인위적으로 닫힘버튼을 누르지 않고 자동으로 설정된 시간(약7초)에 닫히게 하면 운행횟수를 줄일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 할 수 있으므로 이를 숙지하여 시행토록 합시다.
- 업무시설 및 근린·판매시설은 5%이상 절전이 가능하다.
- 절감효과
- 건물용도별 격층운행을 통한 절전효과
용도 | 평균절감량[kWh/일.대당] | 시간당 절감량 [W/시간] | 절감율(%) | ||
---|---|---|---|---|---|
전층 | 격층 | 절감량 | |||
공동주택 | 15.478 | 14.828 | 0.650 | 40.63 | 4.20 |
업무시설 | 18.442 | 17.515 | 0.928 | 66.26 | 7.70 |
근린시설 | 3.313 | 3.112 | 0.201 | 12.57 | 8.85 |
판매시설 | 7.652 | 7.035 | 0.618 | 56.14 | 10.27 |
- 건물용도별 닫힘버튼 폐쇄에 따른 절전효과
용도 | 평균절감량[kWh/일.대당] | 시간당 절감량 [W/시간] | 절감율(%) | ||
---|---|---|---|---|---|
닫힘사용 | 닫힘폐쇄 | 절감량 | |||
공동주택 | 15.478 | 15.269 | 0.209 | 13.06 | 1.35 |
업무시설 | 18.442 | 17.699 | 0.743 | 53.09 | 4.03 |
근린시설 | 3.313 | 3.145 | 0.167 | 10.46 | 5.07 |
판매시설 | 7.652 | 7.111 | 0.541 | 49.18 | 7.07 |
* 각 건물용도별 절감비율은 닫힘버튼사용 대비 비율임. 절감량은 인버터방식 기준임.
설비 및 배관을 보온하자
- 초기설치시 설비와 배관은 단열이 되어 있으나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침수 등에 의해 벗겨지고 보온효과가 떨어지므로 보온을 강화하자.
- 배관의 보온시 보온층의 두께는 유체의 내부온도와 배관규격에 따라 경제적인 두께로 결정토록 하자.
저효율설비를 과감히 절약형으로 교체하자
- 보일러, 냉동기, 조명등 에너지사용설비의 성능을 점검하고 에너지절약형기기 정보를 입수하여 효율이 높은 설비로 교체하자.
건물내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하자
- 각 층별, 각 실별로 냉·난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자.
- 중앙제어식의 냉·난방 설비를 설치하자.
밸브를 정확히 개폐하자
- 공정내 밸브를 조절용으로 사용하지 말자.
- 증기밸브에서 누출이 되는지 확인하고 개선하자.
- 체크밸브는 작동여부를 자주 확인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