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재지
- (48952)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 59, 앞 보도 (광복동2가)
- 관리기관
- 중구 안전도시과 (도시정비계)
- 구조
- 마천석 + 브론즈 가공
- 건립취지
- - 광복로 시범가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중구를 대표하는 문화의 거리로 거듭나기 위해 시범가로 내에 예술성있는 조형물을 거리갤러리 형식으로 설치하여 지역주민과 방문객들에게 문화적 휴식공간과 볼거리 제공.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산63-6 중앙공원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중앙공원)
- 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화강석
- 건립취지
- - 이 충혼탑은 1949년 8월15일 대한민국 건국이후 나라와 겨레를 위하여 싸우시다 장렬하게 돌아가신 부산출신 국군장병과 경찰관을 비롯한 애국전몰 용사들의 영령을 모시고 있는 성스러운 위령탑이다. 충혼탑 9개의 열주 아래 둥근 반원형(돔)으로 지은 영령실에는 전몰용사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던 것을 1982년 부산시가 이곳 대청공원을 조성하여 1983년 9월7일에 이곳으로 옮겼다.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가 1-2번지 용두산 공원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중앙공원사업소)
- 구조
- 청동(대리석-좌대)
- 건립취지
- 여기 서 계신 어른은 우리 겨레와 함께 영원히 가시는 거룩한 지도자 충무공이시다. 그는 오색 찬란한 꺼지지 않는 민족의 태 양이니 진실로 우리들의 자랑이요 영광이요 또 힘이요 생명이시다. 일찍이 이조 인종(서기1545)삼월 초팔일 서울에서 나시어 오십 사년간 누리시고 선조삼십일년(서기 1598)십일월 십구일 새벽 노량 바다에서 적탄 아래 돌아가셨으나 그 무렵 무너지는 나라를 한 손으로 떠 받으신 위대한 은공을 강산과 함께 사라지지 않는 것이요 동포를 위하여 뿌리신 피는 자자손손 만대의 혈관속에 흘러 드신 것이다. 그의 동상을 구태여 이 곳에 세우는 뜻은 저 임진란때 왜적이 이 땅에 첫발을 올려 놓은 곳이 바로 여기였기로 그날의 고난을 뼈저리 게 기억하자 함이요 또 여기가 이 나라의관문이라 예서부터 인족의 정기를 바로 세워 국토수호의 피어린 정신을 안팎으로 나타내자 함이니 겨레여 가슴마다 임은 살아 계시니이다. 강산에 서리신 뜻은 천수만대 푸르리이다. 단기사천이백 팔십오년 십이월 이십이일. 김경승은 조각하고 이은상은 글을 짓고 동명서예원 오제봉은 글씨를 쓰고 경상남도 지사 이상룡은 도민 전체에 힘과 정성을 모아 여기에 삼가 이 동상을 모셔 세우다.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가 1-2번지 용두산 공원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중앙공원사업소)
- 구조
- -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2가 38-3 광복로 66-2 앞
- 관리기관
- 중구 안전도시과 (도시정비계)
- 구조
- 브론즈 가공
- 건립취지
- - 광복로 시범가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중구를 대표하는 문화의 거리로 거듭나기 위해 시범가로 내에 예술성있는 조형물을 거리갤러리 형식으로 설치하여 지역주민과 방문객들에게 문화적 휴식공간과 볼거리 제공.
-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413-5 올림픽동산 정상
- 관리기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청
- 구조
- 조각구상(청동, 대리석)
- 건립취지
- - 제1회 부산야외조각대전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작품 양도.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413-5 올림픽동산 정상
- 관리기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청
- 구조
- 조각비구상(이태리 대리석)
- 건립취지
- - 제2회 부산야외 조각대전 심포지엄 작품매입.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708-3 동백공원 정상
- 관리기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청
- 구조
- 청동
- 건립취지
- - 최치원선생의 친필이라고 전해지는 해운대석각(시지정기념물 제45호)이 있는 동백섬에 선생의 발자취를 기리기 위해 동백섬 정상에 ‘고운최치원선생유적보존회’에서 건립.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301-7 APEC나루공원 용두산 공원
- 관리기관
- (사)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
- 구조
- 철
- 건립취지
- - 부산지역 내 조각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진행된 2006부산비엔날레 부산조각프로젝트에 이어 2008년에도 APEC나루공원 내 20점의 (반)영구 조각작품을 추가로 설치하여 부산의 대표적인 명품조각 공원으로서의 입지를 확실히 굳히고자 하였다. 특히 2008부산비엔날레 부산조각프로젝트에서는 과년도의 작품 경향과 달리 장소특성적 조각작품, 스트리트 퍼니처 등의 공감각적 작품으로 구성하여 기존에 비해 완성도를 높이는 한편 다양한 장르의 작품설치로 풍성한 조각공원으로 새롭게 변모시키고자 하였음.
조형물 정보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 051-888-5045
- 최근 업데이트
- 2024-09-24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