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조형물 정보

  • 동래부사 민영훈공 거사비 썸네일

    [금정구]동래부사 민영훈공 거사비

    소재지
    (46269) 부산광역시 금정구 무학송로 9, 부곡동 255-8, 공수물 공원 (부곡동)
    관리기관
    금정구청(문화관광과)
    구조
    안내판석 ; 오석, 받침석 : 거창석
    건립취지
    - 『동래부사 민영훈공 거사비』는 동래부사로 재임한 민영훈공이 극심한 흉년으로 아사지경에 있던 백성들을 구휼하고 만인 구명을 한 공덕을 칭송하기 위해 생전에 마을 사람들이 그 은혜를 기리고자 건립한 거은비(去恩碑)이다.
  • 신정융열사 추모비 썸네일

    [금정구]신정융열사 추모비

    소재지
    (46213)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도서관로 33, 금정도서관 앞(남산동 산1-1) (청룡동)
    관리기관
    금정구청(사회복지과)
    구조
    화강암
    건립취지
    - 1960 4.19 혁명 당시 동래구 북면 청년학우회에서 기념비 세움.

    - 1981년 4월 북면지구 청년연합회 향인들이 금정중학교 교정에 추모비를 세움.

    - 1995. 5. 10 신정융열사 추모비 재건립 추진위원회 구성.

    - 1995. 12. 추모비 공모, 재건립 사업추진.

    - 1995년 본예산 반영 : 35,000천원.

    - 1996. 4. 19 : 현 위치 재건립.

    - 조각 : 박태원 교수.

    - 글씨 : 정중한 박사.
  • 박차정의사 동상 썸네일

    [금정구]박차정의사 동상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481-1 만남의 광장 내
    관리기관
    금정구청(사회복지과)
    구조
    화강암, 동
    건립취지
    - 1999. 2. 12 : 박차정의사 동상 건립 부지협조 요청 ▷ 문화회관 부지 내.

    - 1차 부지선정 : 1997년 6월 금강공원 매표소 부근 ☞화장실 이전비 확보 불가로 불가처리.

    - 1999. 3. 30 : 동상건립을 위한 관련단체 합동회의 개최.

    - 1999. 4. 17 : 금정문화회관 부지 내 설치불가 통보 ※ 동상 자체가 문화회관 이미지와 상충되고 건물전체 조형미에 합당치 않음.

    - 1999. 6. 4 : 박차정의사 숭모회 방문 : 만남의 광장 부지내 건립.

    - 2000.10.26 : 도시계획시설 사업실시계획 인가 동상공모.

    - 1차 공모 : 부산시 공모 ☞ 출품작 저조로 작품 미선정.

    - 2차 공모 : 전국 공모 ☞ 경성대학 박종선 교수작품 선정 ※ 박차정의사 숭모회 심의 결정.
  • 김해김씨 열녀비 썸네일

    [금정구]김해김씨 열녀비

    소재지
    (46274)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777, 금정구청 금샘뜰 (부곡동)
    관리기관
    금정구청(문화관광과)
    구조
    비산 : 자연석, 기단 : 화강석
    건립취지
    - 88년 개청 후 현재의 구청사 신축공사 현장 발견 부곡3동 경로당 인근에 이설 부곡3동 경로당에서 현 금샘뜰로 이전 함.

    - 2004년 구청광장정비 사업에 당초 열녀비 발견위치 부근 (신축별관 앞 화단 정도)으로 비석이전 설치.
  • 김종식 그림비 썸네일

    [금정구]김종식 그림비

    소재지
    (46201)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333, 범어사 하행로 (청룡동)
    관리기관
    금정구청(문화관광과)
    구조
    자연석(화강암);오석
    건립취지
    - 현실과 현실너머의 세계를 소유도 포기도 어려운 이율배반의 와중에서 일흔 평생을 채필과 더불어 스스로의 길을 찾아간 김종식, 치장하는 재간을 마다하고 마음의 눈을 그렸던 화가 그를 사랑한 모든 이들의 이름으로 여겨 오래도록 남아 있을 돌 하나를 세움.
  • 6.25참전용사 기념비 썸네일

    [금정구]6.25참전용사 기념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810-6 노포삼각화단 내
    관리기관
    금정구청(사회복지과)
    구조
    화강암
    건립취지
    - 2001. 5. 10 : 기념비 건립 준비위원회 구성(7명) 제5대대장, 구청기동중대장, 재향군인회장, 사무국장, 6?25 참전유공자회 회장, 상이군경회 회장 등.

    - 2001. 6. 10 기념비 건립 추진위원회 구성(36명) 건 립.

    - 착 공 : 2002. 1. 3.

    - 준 공 : 2002. 6. 25.

    - 동상공모 : 53사단 5대대 병사들에게 공모.

    - 우수작 선정 : 부경대 미술학과 교수 자문 → 기념비 건립 준비위원회 심의 결정.

    - 제막식 : 2003. 6. 18.

    - 관리주체 : 현충시설 지정 신청시 함께 신청하여 보훈청에서 지정.(기념비관리위원회)
  • 3.1운동 유공비 썸네일

    [금정구]3.1운동 유공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산 2-1 범어사 하행길
    관리기관
    금정구청(사회복지과)
    구조
    화강암, 오석
    건립취지
    - 1994. 4. 16 : 유공비 모형설계 참가대상자 홍보 공문 발송.

    - 1994. 4. 27 : 응모 승낙서 취합.

    - 1994. 6. 30 : 유공비 모형 설계도 취합, 건립위치 선정.

    - 1994. 8. 30 : 3.1운동 유공비 모형설계 응모작품 입상통지 ▷ 우수작 한인성,
    가작 문성권, 가작 김광우.

    - 1995. 3. 1 : 제막식(현 문화회관 부지-소방서 앞-) ※ 문화회관 건립공사 시
    (1996년) 현위치로 이전설치.

    - 1996. 10 : 현 위치로 이전준공.

    - 1996. 11.28(목) 15:00 : 이전 준공식. [사업기간 : 1994.9.13~1994.12.20/
    시공자 : 부산대학교 교수 한인성]
  • 완화삼과 나그네 썸네일

    [강서구]완화삼과 나그네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3947-1 부마IC옆
    관리기관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구조
    화 강 석
    건립취지
    - 우리나라 대표적 서정시인으로 일컫는 조지훈선생과 박목월선생이 시우관계에서 서로 화답한 [완화삼]과 [나그네]가 자연을 즐기며 인생을 관조하는 향토색 짙은 묘사가 우리고장 농촌 풍경에 잘 어울리는 작품임. - 화답배경 -

    - 1939년 문장지에 두사람이 함께 작품을 발표한 것이 계기가 되어 시우로서 교감이 이루어져 먼저 지훈이 목월이 있는 경주를 방문.

    - 지훈이 먼저 목월에게 [완화삼] 원고를 보이고 이에 목월은 지훈에게 [밭을갈아]란 자작시를 보여주고 시에 대한 평론과 함께 폭넓은 의견 교환.

    - 1946년 [상아탑] 문예지 4월호에 지훈은 [완화삼]을 [목월에게]란 부재를 달고 목월은 [나그네]를 [지훈에게]란 부재를 붙여 함께 발표하게 되어 이후 시단에서 이를 두 시인이 서로 화답한 시로 평가함.
  • 오막살이 썸네일

    [강서구]오막살이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2587-9 금호마을앞
    관리기관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구조
    화 강 석
    건립취지
    - 낙동강제방에 조성된 철쭉동산에 우리고장 출신 시인과 저명 인사들의 시, 노래 및 낙동강을 소재로 한 여타 문학인들의 조형물을 건립.

    - 배재황 선생의 시 오막살이를 조형화 한 것으로 넓은 대지 위에 솟아오르는 보름달을 상징, 오막살이 시절을 부각시켜 산과 초가집 그리고 달을 구성하여 시골풍경을 조형화시킴.
  • 원광시비 등 9개 썸네일

    [중구]원광시비 등 9개

    소재지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가 1-2번지 용두산 공원
    관리기관
    부산시설공단(중앙공원사업소)
    구조
    자연석
    건립취지
    - 유치환선생의 「그리움」이 먼저 길을 열고, 뒤이어 최계락선생의 「외갓길」, 장하보 선생의 「원」, 홍두표 선생의 「나는 곰이로소이다」, 조향 선생의 「에피소드」, 손중행 선생의 「세월」, 김태홍 선생의 「잊을래도」, 박태문 선새의 「봄이오면」, 원광 선생의 「촛불」이 새겨진 9개 시비.

자료관리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051-888-5045
최근 업데이트
2024-09-24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