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배후 국제산업물류도시 조성
사업개요
- 사업명 : 국제산업물류도시 조성
- 위치 : 낙동강 하구 강서지역 일원
- 면적 : 33㎢
- 사업기간 : 2008년 ~ 2023년
※ 개발용지 33㎢를 향후 개발수요에 맞춰 단계적으로 확대 개발
필요성
국가적 차원
- 부산신항의 명실상부한 국제허브 항만 육성과 국가경쟁력강화 기여
- 김해국제공항과 연계한 배후지역 개발 추진
- 항만과 배후 산업물류클러스터와의 연계 강화
- 부산신항을 '물동량 창출형' 고부가가치 항만으로 변화시켜 국가적 항만물류 경쟁력 강화
- 국가발전의 거점으로 활용 필요
- 항만, 공항, 철도, 도로, 하천 등 국내외 물류네트워크상 최적 입지 여건을 보유하고 있는 강서지역의 경제적 가치 최대한 활용
지역적 차원
- 물류비 절감, 산업클러스터 구축, 인적자원 활용 차원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강서지역에 대규모 산업 물류단지 조성
- 국내외 우수기업 유치로 우리나라 최대 산업벨트인 동남광역권 경제회생의 중핵거점으로 발전시켜 국가균형 발전에 기여
- 부산권의 심각한 용지부족 문제의 근원적 해소
- 글로벌 부품소재공급기지, 복합물류단지, 외국인투자단지로 적극 활용
강서지역의 개발잠재력
국내적
- 부산신항 및 국제공항 소재, 경제자유구역 인접
- 국가기간산업이 밀집된 동남권 산업벨트의 지리적 중심
- 향후 한반도대운하, 대륙횡단철도의 기종점 위치
- 경부축, 영호남축으로 도로·철도 등 광역교통망 발달
- 주간선도로는 남북축으로 거제에서 대구 그리고 부산 사하를 따라 구축되어 있으며 후에는 밀양과 진해 그리고 김해국제공항을 중심으로 도로가 구축될 예정
- 동서축으로는 진해와 사하가 연결되어 있고 부산과 삼량진이 연결되어 있으며 차후 부산과 창원을 중심으로 도로가 구축될 예정
- 고속도로는 부산과 마산 그리고 부산과 대구로 연결되어 있으며 마산과 부산은 김해를 통하는 길과 삼량진을 통하는 길이 있음
국제적
- 국제항만, 공항소재로 글로벌 물류네트워크상의 중심
※ 향후 북극항로 개설시 미주와 구주항로를 연결하는 세계 최강 물류입지 확보 (부산항 → 로테르담항까지 10일 단축, 40% 절감)
- 중국 동부, 러시아 극동해안 도시들과의 물류네트워크 구축 용이
- 일본 큐슈지역과의 광역경제권 형성의 링크 역할 가능
세계로 향한 부산의 세 발전축
- 1. 경부선·경의선과 조선통신사 라인을 잇는 원부산권
- 2. 동러시아·일본서부해안과 한번도 동부해안을 잇는 동부산축
- 3. 아시아·유럽·미주를 잇는 대한해협의 동아시아 게이트 서부산축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도시균형개발과
- 051-888-2852
- 최근 업데이트
-
2021-10-25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