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85-11 어린이대공원
- 관리기관
- 부산광역시교육청 (어린이회관)
- 구조
- 화강암 및 청동
- 건립취지
- -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애국심을 본받자는 취지.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43 어린이대공원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
- 구조
- 추모비 오석, 받침대 화강암
- 건립취지
- - 2000년 1월 일본 도교에서 일본어학교 유학중 2001년 1월26일 오후 7시 15분경 전철역에서 일본남자를 구하고자 용감히 뛰어들었다가 목숨을 바침.
-
- 소재지
- (47236)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성로112번길 121, 송상현광장 (전포동)
- 관리기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청
- 구조
- 화강암 및 청동
- 건립취지
- - 임진왜란 때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공을 기리기 위해 건립.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43 어린이대공원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
- 구조
- 철근 콘크리트, 부조벽화
- 건립취지
- 기존의 노후 아치 구조물을 철거하고 어린이대공원을 상징할 수 있는 부조벽화를 조각하여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기 위해 건립.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산98-1 어린이대공원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 (불교연합회)
- 구조
- 바닥(화강석), 좌대(화강석), 동상(청동)
- 건립취지
- 임진왜란 후 부산지방에 머물으시며 왜인의 재침을 염려하시어 부산진성을 수축하신 사명대사의 공적을 기리며 구국충의를 길이 전하기 위해 건립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43 어린이대공원
- 관리기관
- 부산항일의거기념사업회 (부산지방보훈청)
- 구조
- 동상(청동), 좌대(화강석)
- 건립취지
- - 1940년 11월23일 당시 부산공설운동장 현 구덕운동장에서 개최한 제2회 경남학도 전력증강 국방경기대회에서 일제의 한국 학생들에 대한 차별과 편파 판정이 도화선이 되어 발생. 동래중학과 부산제2상 중심으로 1,000여명의 학생들은 격렬한 가두시위를 전개하고 심판장 일본군 대좌 노다이의 관사를 습격 학생 200여명이 체포되고 온갖 고문을 당하고 주모자 15명 투옥 선배님들의 드높은 애국심과 의연함에 깊이 머리 숙이며 그 숭고한 뜻을 이 탑에 담아 시민정신의 큰 뿌리로 승화.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43 어린이대공원
- 관리기관
- 부산시설공단
- 구조
- 화강석 및 청동 동상
- 건립취지
- - 박재혁(1895~1921)의사는 보통학교와 상업학교 동창인 동지 최천택(催天澤)에게 조국을 위하여 목숨을 바쳐 투쟁할 것을 말 하고 기회를 노리던 중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중국 각지와 싱가폴 등지에서 무역을 하는 한편 여러 독립투사들과 교제 1920년 3월에 귀국하였다가 8월에 상해로 가서 김원봉을 만나 군자금 3백원을 받아 부산경찰서를 파괴하고 그 서장을 사살할 것을 계획함. 1920년 9월 상순 폭탄을 휴대하고 상해를 떠나 동월 13일 부산에 도착하여 다음날(14일) 오후 2시에 고서보따리로 위장한 폭탄을 가지고 경찰서에서 서장과 환담하던 중 폭탄을 꺼내들고 서장을 유창한 일본말로 꾸짓고 폭탄을 던져 서장은 부상을 당하고 그도 중상을 입은 채 피체되어 모진 악형 끝에 기소되어 공소와 상고 끝에 1921년 3월 31일 경성고등법원에서 사형을 언도받아 형이 확정되었다 대구형무소에서 혹독한 고문과 폭탄의 상처 및 폐병으로 고통이 심하자 “왜적의 손에 욕보지 않고 내손으로 죽자”하고 단식중 옥사 순직하였다 의열단원으로 부산경찰서를 폭파하고 체포되어 사형 순국한 독립운동가 박재혁의사의 항일운동을 기념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산98-1 어린이대공원
- 관리기관
- 김정한선생기념사업회
- 구조
- 화강석, 오석
- 건립취지
- - 김정한 선생은 1908년 경남 동래에서 태어나 동래고보를 거쳐 와세다 대학 제일고등학원에서 수학중 1932년 양산 농민봉기사건에 피감, 항일 운동에 참여, 1936년 사하촌이란 작품을 발표하였으나 일제시대는 붓을 접었음 1966년 모래톱이야기로 문단에 복귀 수라도, 인간단지, 산거족 등 작품을 계속 발표하면서 민족문학의 새길을 전개 그 공로로 부산 시문화상, 한국문학상 문화예술대상 문화훈장 등을 받음 고희를 맞아 후학과 뜻있는 시민들은 선생의 뜻을 기려 이 비를 세움.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43 어린이대공원
- 관리기관
- 부산진구참전용사회
- 구조
- 화강암 좌대, 오석비
- 건립취지
- - 국가의 운명이 위기에 놓였을때 조국과 민족을 위해 마음을 바쳐 이땅에 평화의 뿌리를 내리고자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 이 고장 참전용사들의 고귀한 정신과 충정을 영구히 기리기 위해 이 비를 세움.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43 어린이대공원
- 관리기관
- 자연보호중앙협의회
- 구조
- 화강암, 대리석
- 건립취지
- - 1987년 6월12일 자연보호중앙협의회와 경향신문사 공동주관 한국의 명수 100선에 선정에 따른 부산의 유일한 명수임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
조형물 정보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 051-888-5045
- 최근 업데이트
- 2024-09-24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