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조형물 정보

[수영구]수영팔경가사비

2015-12-07  
수영팔경가사비 이미지
주소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329 수영사적공원내 대신공원 공연장 옆
형상
문학비
건립일자
2004-11-20
구조
화강암
규격
높이 1.5m , 폭1.0m, 두께 0.6m
건립주최
토향회
관리기관
부산광역시 수영구청
건립취지
- 수영팔경을 발굴하여 수영의 아름다움을 전한 진정한 향토교육자인 최한복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2004년 11월20일 토향회에서 수영사적공원 25의용단 좌측 뒤편에 기념비를 세웠다. 기념비 전면에는 수영팔경의 서사를 새겼고, 후면에는 수영팔경 가사비 건립 취지문을 새겼다.
위치구분
조각공원
위치
수영사적공원
작품위치
지도 스카이뷰
확대 축소
내용

최한복[1895~1968]선생을 빼놓고는 수영의 역사와 민속을 온전히 말했다고 할 수 없다.수영들놀음에 든든한 주춧돌을 놓았던 수영들놀음 1세대이자,수영의 역사가 담긴 [수영유사(水營遺史)]를 지은 민족지식인이었다.토향회[회장 김무조]가 [최한복 선생 수영팔경 가사비] 제막식을 갖는다.20일 오후 2시 부산 수영구 수영사적공원. 수영의 정체성 을 상징하는 그 현장에 세워질 가사비는 그를 영원히 기억하는 또 다른 방식이다.가사비 앞면에는 [수영팔경]의 서사를 옮겨놓고, 뒷면엔 최한복 선생과 [수영팔경]에 대한 설명을 덧붙여 놓았다.수영 출신인 그는 서울 보성학교를 졸업한 뒤 평생 고향에서 교육자와 애국지사의 길을 걸었다.임진왜란 전후사와 좌수영 등을 기술하고 있는 [수영유사]는 그의 역작. [수영유사]의 제1장이 [수영팔경]이다.수영에서 바라본 풍경에 선조들의 국난극복사를 실어 9편의 가사체로 노래했다. [수영유사] 부록엔 [야유극본(野遊劇本)]이라는 수영들놀음 연희본을 담고 있다. 수영들놀음 최초의 연희본으로 이 기록이 없었다면 일제강점기때 맥이 끊어졌던 수영들놀음이 온전하게 전승될 수 없었을터. 김무조 토향회 회장은 선생이 일본 경찰의 감시를 피해 수영유사 원고뭉치를 두루마기 속에 숨기고 다녔던 일화가 전해온다 면서 그 정신을 역사의 사표로 삼기 위해 가사비로 흔적을 남긴다고 말했다




수영팔경가사비 설치사진
수영팔경가사비 설치사진2

자료관리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051-888-5045
최근 업데이트
2024-09-24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