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배경
- 경산업기능 쇠퇴와 노후 불량주택 등 다양한 지역적 과제들이 중첩한 지역으로
- 강서첨단국제산업물류도시 배후기능 및 첨단 도시형공업 기능을 통한 지역공동체 복원·활성화
사업개요
- 사업지역 : 강동권(북구, 사하구, 사상구) 일원(116.44㎢)
- 사업내용 : 3개 유형, 26개 분야
- 창조환경 : 9개 분야 ▷ 48건(2,071억원)
- 창조산업 : 9개 분야 ▷ 644건(1,096억원)
- 창조주체 : 8개 분야 ▷ 36건(347억원)
- 사업기간 : 2011년 ~ 2020년(10개년 계획) ※ 강동권 창조도시 조성 마스터플랜 수립(2011)
- 총사업비 : 62,194백만원
연차별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계 | 기 투 자(2012~2018) | 2019 이후 | |||
---|---|---|---|---|---|
소계 | 2016 이전 | 2017년 | 2018년 | ||
62,194 | 33,400 | 26,000 | 4,400 | 3,000 | 28,794 |
추진전략 → 강동권의 재생을 통한 창조지역화
![[기본방향 : 강동권 종합발전전략, 지역균형 발전전략, 창조적 환경재생], [추진방향 : 삭막하고 열악한 공업·주거환경개선 / 추진전략 : 풍부한 자연환경과 물, 숲의 복원을 통한 공간재창조 → 중점과제테마 : 1. 주거환경 창출, 2. 쾌적한 경관환경 조성, 3. 생태복원 및 공단환경 개선], [추진방향 : 신산업 육성 거점화 / 추진전략 : 지역산업 육성(제조) 및 신산업 발골로 문화, 관광 재생형 일자리 창출 → 1. 문화환경 조성 및 지원, 2. 특화 박물관 조성, 3.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득증진], [추진방향 : 재생관련 지역역량 강화 / 추진전략 : 지역활력 제고를 위한 공공-기업-대학간 인재네트워크 조성 → 1. 창의인재 네트워크, 2. 문화거리 창작 네트워크, 3. 상인관련 컨설팅]](/resource/img/busan/sub/sub0141_img01.jpg)
![[기본방향 : 강동권 종합발전전략, 지역균형 발전전략, 창조적 환경재생], [추진방향 : 삭막하고 열악한 공업·주거환경개선 / 추진전략 : 풍부한 자연환경과 물, 숲의 복원을 통한 공간재창조 → 중점과제테마 : 1. 주거환경 창출, 2. 쾌적한 경관환경 조성, 3. 생태복원 및 공단환경 개선], [추진방향 : 신산업 육성 거점화 / 추진전략 : 지역산업 육성(제조) 및 신산업 발골로 문화, 관광 재생형 일자리 창출 → 1. 문화환경 조성 및 지원, 2. 특화 박물관 조성, 3.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득증진], [추진방향 : 재생관련 지역역량 강화 / 추진전략 : 지역활력 제고를 위한 공공-기업-대학간 인재네트워크 조성 → 1. 창의인재 네트워크, 2. 문화거리 창작 네트워크, 3. 상인관련 컨설팅]](/resource/img/busan/sub/sub0141_img01-2.jpg)
추진방법
- 10개년 중기계획에 의한 상징적 또는 창조적 사업 우선 연차적 시행
- 1공업지역 및 주거지역의 특색에 맞는 친환경적 도시공간 재창출
- 1커뮤니티 형성, 창조주체 활동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사업 병행 추진
그동안 추진사항
- '10. 03~07 : 강동권 창조도시 구상을 위한 기초 조사(BDI)
- '11. 01. 31 : 마스터플랜 수립용역 착수
- '11. 09. 08 : 시민 공청회 개최
- '11. 11. 18 : 마스터플랜 수립용역 완료
- '12년까지 : 창조문화활력센터 등 4건 사업 6,000백만원
- '13년도 : 에코팩토리존 조성사업 등 3건 사업 5,000백만원
- '14년도 : 만세운동길 역사테마거리조성 등 3건 사업 5,000백만원
- '15년도 : 로컬푸드(구포국수) 브랜드화 사업 등 3건 사업 5,000백만원
- ‘16년도 : 덕천동 창조의거리 조성 등 4건 사업 5,000백만원
- ‘17년도 : 홍티예술촌 조성 등 4건 사업 4,400백만원
- ‘18년도 : 부산패션칼라산업단지 일원 에코팩토리존 조성(5단계) 등 3건 사업 3,000백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