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통합 공지사항

비브리오패혈증 주의보 발령

내용
⊙ 비브리오패혈증 주의보 발령


♠ 발령일자 : 2003년 5월 27일자
♠ 발생지역 : 전남 영광, 함평군 등 지역과 인천 강화군지역 채취 한 환 경 가검물(해수 및 갯펄)
♠ 발병원인 : 비브리오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있는 피부를 통하여 이 균에 감염되어 발병합니다.
♠ 연도별 Vibrio vulnificus균 검출일시는
- 2000년 5. 27, 2001년 5. 19, 2002년 5.18.
♠ 연도별 비브리오패혈증환자 발생현황은
- 2000년 16명(부산 1명), 2001년 41명(부산 6명), 2002년 59명(부산 1명)입니다.
♠ 질병의 특징은
- 병 원 체 : Vibrio vulnificus균(법정전염병 제3군)
- 병 원 소 : 어패류, 해수, 갯벌 등(21℃ 균검출 용이, 25℃ 이상에서 최고조)
- 전파방법 : 균에 오염된 어패류의 취급 또는 생식하거나 해수와의 접촉을 통한 피부상처로 대부분 전염
- 잠 복 기 : 1∼2일 (피부감염의 경우는 약 12 시간)
- 발생시기 : 주로 6∼9월 (10월까지 환자 발생)
- 호발연령 : 40대∼50대(주로 40代에서 90%이상 발병)
- 발생지역 : 해안지역에서 주로 발병
♠ 임상적 특징은
- 만성간질환, 만성신장질환, 당뇨병환자, 면역억제제사용자, 알콜중독자 등에게서 주로 발생함
- 갑작스런 오한, 발열, 피로감, 근육통 등으로 시작되며 일부 구토, 설사도 있습니다.
- 특이점은 발병후 36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피부병변으로 대퇴부, 둔부에 홍반, 구진으로 시작되 어 수포, 괴저병 궤양으로 발전합니다.
- 치명률이 높은편입니다.(40∼50 %)
♠ 예방방법은
- 56℃이상 열을 가하면 균이나 균독이 파괴되므로 반드시 어패류를 충분히 조리한
후 섭취합니다.
- 다음의 위험계층들은 6월부터 어패류 생식을 금하고, 피부상처를 통하여 감염되지 않 도록 낚시 등을 자제해야 합니다.
① 간질환 환자(간경화, 만성간염, 간암, 혈색소증)
② 알콜중독, 매일 술을 마시는 사람, 폭음시
③ 만성 질환환자(당뇨병, 폐결핵, 만성신부전, 만성골수염)
④ 재생불량성 빈혈, 지중해 빈혈
⑤ 악성종양환자, 백혈병
⑥ 위절제술을 받은 사람
⑦ 위장관 질환(무산증, 위궤양, 취염, 췌장염, 국한성장염, 허혈성장질환 등)
⑧ 장기간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투여받은 사람
⑨ 항암제나 면역 억제제를 복용중인 사람
⑩ 제산제나 위산분비 억제제를 복용중인 사람
⑪ 면역결핍환자(AIDS나 백혈구 감소증 환자)

⊙ 비브리오패혈증 유행예측사업
♠ 중앙정부 및 우리시 : 비브리오패혈증 유행예측사업 매년 지속 추진
♠ 목 적 : 비브리오 패혈증 발생 예측을 위하여 환자 및 자연환경계를 대상으로 한 실험실 감시를 수행하여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에 대한 홍보 및 관리대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 사업기간 : 매년. 4. 1 ∼ 11. 30
♠ 주관부서는
- 중앙정부 : 국립보건원 호흡기세균과(☎02)385-8043)
- 우 리 시 :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051)757-7502)
♠ 대상가검물은
- 각종 어패류 및 갑각류 등
- 해수, 갯펄 등(녹산해수 외 19개소)
♠ 추진사항은 72건 검사(5월말 현재 비브리오패혈증 불검출)
♠ 조치사항은 월 1회 국립보건원에 송부(역학조사과의 연안해수 조사결과를 취합합니다.)
단, 비브리오패혈증균 검출시에는 균주와 역학조사표를 함께 즉시 송부합니다.
♠ 시민이 할일
- 어패류는 깨끗이 씻읍시다.
- 주 감염계층은 하절기 어패류 생식을 삼갑시다.
(만성간질환, 만성신장질환, 당뇨병환자, 면역억제제 사용자, 알콜중독자 또는 매일 술을 마시 는 사람은 어패류 생식을 삼가합시다.)
-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다에 들어가는 것을 삼가합시다.
- 게를 다룰 때 상처를 입지 않도록 조심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