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한국전쟁 과정에서 형성된 근·현대사의 역사적 산물인 원도심 산복도로 일원 주거지역의 역사·문화·자연경관 등의 기존 자원을 활용한 주민주도[마을 종합재생 프로젝트]
산복도로 르네상스 프로젝트(총괄)
- 대상지역 : 원도심 산복도로 일원 주거지역(6개구)
- 대상 자치구 : 중구, 서구, 동구, 부산진구, 사하구, 사상구
- 사업구역 : 3개 권역(구봉산, 구덕·천마산, 엄광산), 9개 사업구역
- 사업방향 : 공간·생활·문화재생을 통한 자력수복형 종합재생
- 사업방법 : 권역별 순차적 시행
- 사업기간 : 10개년 사업(2011~2020년)
- 사 업 비 : 1,500억원

권역(천㎡) | 구역 | 구역면적 (천㎡) |
사업 연도 |
사업 공정 |
---|---|---|---|---|
계 | 3개 권역 9개 사업구역 |
10,444.2 | ||
구봉산 권역(4,524.2) | 영주·초량구역 | 1,138.4 | '11 | 완료 |
좌천·수정구역 (주례구역포함) |
2,439.9 | '14 | 완료 | |
보수구역 | 945.9 | '17 | 60% | |
구덕·천마산권역(3,205.0) | 아미·감천구역 | 1,416.6 | '12 | 완료 |
충무구역 | 1,076.6 | '15 | 완료 | |
대신·학장구역 | 711.8 | '18 | ||
엄광산 권역(2,715.0) | 범일·범천구역 | 922.7 | '13 | 완료 |
가야·개금구역 | 1,792.3 | '16 | 90% | |
주례(보강)·전체구역 | - | '19 |
추진상황
- 권역별 순차적 시행 ▷ ‘11~’18 투자금액 : 810억원
년도(차수) | 사업구역 | 사업비(억) | 사업내용 | 공정율 |
---|---|---|---|---|
2011(1차) | 영주·초량 | 132 | 김민부 전망대 등 30개 단위사업 | 완료 |
2012(2차) | 아미·감천 | 127 | 감내어울터 등 41개 단위사업 | 완료 |
2013(3차) | 범일·범천 | 113 | 범일 이바구길 등 31개 단위사업 | 완료 |
2014(4차) | 좌천·수정·주례 | 114 | 좌천1동 역사마을 등 36개 단위사업 | 완료 |
2015(5차) | 충무 | 103 | 샛디 커뮤니티센터 등 27개 단위사업 | 완료 |
2016(6차) | 가야·개금 | 101 | 먹거리 맛거리 조성 등 33개 단위사업 | 90% |
2017(7차) | 보수 | 70 | 쉼길 테마가로 조성 등 20개 단위사업 | 60% |
2018(8차) | 대신·학장 | 50 | 안심마을 정비사업 등 17개 단위사업 | - |
사업권역 확대
- 대상지역 : 기존권역에 포함되지 않은 산복도로 일원 주거지
- 6개구(영도․남․부산진․연제․금정․동래구)
- 추가권역 : 3개 권역, 32개동
- 봉래산권역(8.4㎞) : 7개동
- 황령산권역(6.3㎞) : 11개동
- 금정산권역(12.7㎞) : 14개동
- 시행방안 : 국비확보 추진
- 「도시재생특별법」의 도시재생사업 반영 추진(시비 매칭)
- 도시재생활성화구역 지정
- 봉래산권역 활성화구역 지정

확대대상지역 현황산
구분 | 도로연장 | 도로명 | 자치구 | 행정동 | 인구수(명) | |
---|---|---|---|---|---|---|
계 | 해당동 | |||||
계 | 27.46㎞ | 11개 도로 | 6개구 | 32개동 | 565,476 | |
봉래산권역 | 8.4㎞ | 봉래길 절영로 하나길 |
영도구 | 7개동 | 봉래2동, 신선동, 영선2동, 청학1․2동, 동삼1․3동 | 110,426 |
황령산권역 | 6.36㎞ | 진남로 | 남구 | 5개동 | 대연5․6동, 문현1․2․3동 | 163,431 |
부산진구 | 5개동 | 양정1․2동, 전포1․2․3동 | ||||
연제구 | 1개동 | 연산2동 | ||||
금정산권역 | 12.7㎞ | 쇠미로 금강로 구서중앙로 만덕로 우장춘로 식물원길 금샘길 |
금정구 | 7개동 | 구서1․2동. 남산동, 청룡노포동, 장전1․2․3동 | 291,619 |
동래구 | 6개동 | 사직1․2․3동, 온천1․2․3동 | ||||
연제구 | 1개동 | 거제2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