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원법 제3조) 선장이라 함은 해원을 지휘·감독하며 선박의 운항관리에 관하여 책임을 지는 선원을 말한다.
선박에 화물을 싣는 행위를 말하며, 적하라고도 한다.
측량 구역의 답사 결과로부터 측점을 선택하는 것. 연접 측점은 전망에 지장이 없도록 배려한다.
본 터널의 옆으로 병행하여 도갱을 굴진하는 것. 연락갱을 적당히 만들어 이들 연락갱으로부터 본 터널을 굴진한다. 또한 선진 도갱은 배수. 환기. 피난로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크고 긴 터널에 적합하다.
선박에 있어서 갑판 아래쪽의 화물 적재구역을 말한다.
용광로에서 철광석을 융해. 환원하여 얻어지는, 4% 정도의 탄소를 포함한 철. 제강용 선(銑). 주물용 선이 있다.
특정한 채권자가 우선적으로 채무자로부터의 변제를 받는 법정 담보권. preferential right
흙끊기 구간이나 흙채취장 등에서 채취되는 양질의 현지 발생지. 노상 개량, 하층 노반, 노견 포장 등에 쓰인다.
큰 저수지에 있어서는 홍수시 등에 저수지 내로 유입한 탁한 물이 장기간 저수지 내에서 체류하다가 후일 저수지로부터 방류되면 이 탁한 물의 방류로 하천수가 탁해져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 저수지 내의 탁한 물은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침강하고 저수지 표면의 물은 청정하게 되는 수가 많다. 또한 홍수시의 탁수는 비중 관계로 표고면에서 저수지의 중간 정도에 굳어져 체류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취수하는 표고를 적당히 변화시킴으로써 탁한
온도가 1℃ 변화할 때 봉 길이의 신축량을 원래의 길이로 나눈 수치. 이것을 α 라 하면, α (Δℓ/ℓ)·(ℓ/ t2 - t1) 철강에서는 보통 11.7 × 10-6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