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면을 이용하여 매립 처분하는 것. 연안에서 순차 앞바다를 향해 매립하는 방법과 미리 해상에 호안(護岸)으로 독립한 구역을 만들고 매립하는 방법이 있다. - water area reclamation
동물 분류학상 한 문으로서, 조직이나 기관이 없고 몸의 위쪽 끝 출수공과 체벽에 나 있는 수많은 소공(입수공)으로 물을 통과시켜 안쪽의 수많은 동정세포로 식물플랑크톤 포식하는 하등생물이다. 해면동물은 각 개체가 하나의 독립체로 보이나 실제로는 여러 개체가 모인 군체로서 섭식·소화·생식 등 각자가 뚜렷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해면동물의 일종인 목욕해면은 연하고 질긴 섬유질로서 화학제품이 나오기 이전에는 목욕 및 문방구용으로 널리 쓰였다.
안개는 관측지점으로부터 1km이내의 목표물이 보이지 않을 때를 말하는데, 해무는 해상에서 불 수 있는 안개를 가리키며, 바다안개라고도 한다.
연안역(沿岸域)의 바다라는 친근감있는 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비일상적 공간을 창조한 리조트로, 비치, 마리나, 스포츠, 호텔 등의 시설을 효과적으로 도입하여 기분 좋은 안식을 제공한다.
해안에서 채취되는 자갈. 일반적으로 구형, 타원형 또는 편평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골재로서는 하천 자갈보다 좋지 못하다.
해안 또는 하구 부분에서 채취되는 모래. 크기가 거의 같고 입도(粒度)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해변이라고도 하며, 해안선을 따라서 해파와 연안류가 모래나 자갈을 쌓아 올려서 만들어 놓은 퇴적지대로서, 특히 해파의 작용을 크게 받아 형성된다. 대부분의 해빈은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래해빈에서 가장 풍부한 광물은 석영이다.
저위도는 조개껍데기로 된 모래가 많고, 화산지대는 현무암 또는 감람석이 풍부한 모래가 많으며, 점판암이나 셰일의 기반암 부근에서는 자갈 해빈이 많다. 해빈 퇴적물은 분급이 양호하고, 원마도는 아주 둥근 상태이다. 해빈의 퇴적구조는 대부분 층리구조이며, 연흔·파흔·소류등의 특이 구조를 볼 수 있다.
해수가 냉각되어 빙결된 것을 해빙이라 한다. 염분 35‰의 해수는 -1.9℃에서 빙결되지 않고 더 낮은 온도에서 빙결된다.
극피동물의 한 강으로서, 몸은 원통형으로 좌우대칭이며 길고 양 끝에 입과 항문이 열려 있다. 입은 관족이 변형한 촉수로 둘러 싸여 있으며, 유생은 아루리쿨라리아이다.
해양상에 건설하여 도시 기능을 갖춘 해야 건축물을 말한다. seaside city, sea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