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511/1604)

해안선에 비스듬히 입사하는 쇄기파에 의해 이동해 가는 표사.
해안선 부근에서 현지반을 흙 쌓기 또는 콘크리트나 석재로 쌓 올려서 높은 조수와 해일 또는 파도에 의해 침수나 파괴를 방지하는 시설을 말한다. 구조 형식에는 1) 경사형 : 콘크리트의 피복식, 석축식, 콘크리트 블록 축조식, 2) 직립형 : 단괴식, 부벽식, 석축식, 3) 복합형 : 비탈진 경사가 상부와 하부에서 변화된 것으로서 위 형식을 조합한 것이 있다. 물결의 힘이 적을 때는 직립형이, 물결 힘이 클 때는 경사형이 채택된다. 구조적으로는 표
지표면 중 육지 이외의 부분으로서 바다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해양은 지구 표면적의 3/4을 차지하며, 약 3억 6천만 ㎢이다.
표층의 따뜻한 해수와 심층의 찬 해수를 각각 취수하여 그 온도차에 기인하는 기체의 포화수 증기압의 차로 생기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행하는 발전을 말한다. 수증기 외에 프론, 프로판, 암모니아 등이 열매체로서 이용된다.
- hydrographic survey
항만, 해안, 해양 등에 건설하는 구조물에 이용되는 콘크리트. 해양 콘크리트는 해수의 물리적, 화학적 작용이나 기상 작용 그리고 파랑이나 표류 고형물에 의한 마모나 충격 등, 육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손상을 받기 쉬운 영향하에 있다. 따라서, 해양 콘크리트에는 해수의 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며, 강도 및 수밀성(水密性)이 큰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꼼꼼한 시공이 필요하다. - under water concreting, pr
해저에 고정되어 있는 해양 구조물로, 구조 형식에 따라 재킷형, 가이드 타워형, 중력형이 있다. 상부 덱은 해양 작업에 있어서의 기지, 수송 설비 및 조사용의 시설로 이용된다.
해양이 갖고 있는 광물·생물·에너지·공간 등의 자원을 인간의 사회·경제·생활의 향상을 위해 활용·보존·유지하는 행위를 말한다.
해양개발에 관련된 공학으로서, 해양자원개발을 위한 공학적 기술과 해양자원개발을 위한 기기관련 기술, 해상·해중에서의 일반적인 과학과 공학적 기술 등으로 구분된다.
해양에 존재하는 광물자원의 해저의 표층 및 지질 구조내에 존재하는 해저 광물자원과 해수 중에 녹아 있는 광물자원으로 대별된다. 해저 광물자원은 매장된 해저의 수심에 따라 광물의 종류와 분포양상을 달리하고 있다. 조간대와 해빈에는 다이아몬드, 금, 백금, 티탄철, 자철광, 사철주석, 사금, 중석 등이 분포하며, 대륙붕 지역에는 석탄, 사철, 자철, 티탄철, 금, 주석, 인광, 석회석, 석유, 천연가스 등이 매장되어 있으며, 심해저에는 인광, 망간단괴, 망간각, 해저열수광상 등이 다량 매장되어 있다. 해수 중에는 육상에서 알려진 모든 원소가 포함되어 있으나, 소금, 브롬, 마그네슘 등이 주로 상업적인 목적으로 채취되거나 추출되어 왔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