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여객이나 항공 화물의 효율적인 수송을 도모하기 위한 네트워크로, 국제 및 국내의 네트워크가 있으며, 핵이 되는 주요 공항을 중심으로 주변에 여러 공항이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항공 네트워크의 핵이 되는 공항을 허브 공항 (hub airport)이라 하고, 허브 앤드 스포크스 라는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 네트워크.
aerial photo-grammetry
항공로상에 어떤 높이의 구축물을 항공기 조종사에게 인식시켜 운항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항공법에 의해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는 표지등.
aerial photogrammetry
로딩 에이프런 상에서의 항공기의 주기 방식은 프론트(리니어) 방식. 비교적 소규모의 공항에서 행하여지는 터미널 전면에 항공기를 병렬로 주기시키는 방식, 핑거 방식(터미널 빌딩에서 뻗은 핑거 주위에 항공기를 주기시키는 방식), 새틀라이트 방식(메인 터미널 빌딩 주변에 위성과 같이 서브터미널 빌딩을 배치하고, 항공기는 서브터미널 빌딩 주위에 주기시키고, 쌍방의 빌딩 사이는 지하도 등으로 잇는 방식), 오픈 에이트런 방식(터미널 빌딩에서 떨어진 에이프런에 항
로딩 에이프런 상에서의 항공기의 주기 방식은 프론트(리니어) 방식(비교적 소규모의 공항에서 행하여지는 터미널 전면에 항공기를 병렬로 주기시키는 방식, 핑거 방식(터미널 빌딩에서 뻗은 핑거 주위에 항공기를 주기시키는 방식), 새틀라이트 방식(메인 터미널 빌딩 주변에 위성과 같이 서브터미널 빌딩을 배치하고, 항공기는 서브터미널 빌딩 주위에 주기시키고, 쌍방의 빌딩 사이는 지하도 등으로 잇는 방식), 오픈 에이프런 방식(터미널 빌딩에서 떨어진 에이프런에 항공
항공기의 항행에 적합한 공중 통로.
air route surveillance radar 의 약어. 항공로용 장거리 레이더로, 고출력이고 항공로의 레이더 관제 업무에 쓰인다. 이 레이더에 의해 고도 15,000m, 거리 범위 360km(200해리)이내, 유효 반사 면적 15m2 이상의 항공기를 탐지할 수 있다. 항공로 감시 레이더 시설이라고도 한다.
항만 외곽의 일부이며, 선박의 출입구. 출입 선박의 크기, 차폐해야 할 파도의 크기, 항구의 조류(潮流)의 유속 등에 따라 그 폭과 수심이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