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풍파를 차폐하고 선박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출입 정박하며, 여객의 승강,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수륙 교통의 접속점으로서의 시설을 갖춘 장소. 사용 목적에 따라 상항(商港), 공업항, 어항, 군항으로 분류된다. harbor, port
항만 시설의 계획, 설계, 시공 등에서 기본이 되는 기준면.
항만시설의 계획이나 구조물에 대한 설계 등의 기본이 되는 기준면을 말한다. 기본 기준면은 그 항구의 평균 수면에서 주요 4분조의 반조차의 값을 차인한 높이인데 각 항만에 따라 그 높이는 다르나 거의 항만의 최저 저조면에 일치한다. 기본 수준면은 해도에 표기하는 수심, 조석표에 대한 값의 기준이 된다.
(항만운송사업법시행령 제2조) 통선으로 본선과 육지간의 연락을 중계하는 행위, 본선의 경비 또는 본선의 이안 및 접안을 보조하기 위하여 줄잡이 역무를 제공하는 행위, 선박의 청소·오물제거·소독·폐물수집 및 운반·화물고정·칠 등을 하는 행위, 선박에서 사용하는 맑은 물을 공급하는 행위를 말한다.
항만구역 안에 설치된 낚시터·유람선·낚시어선·모터보트·요트 및 윈드서핑 등의 수용을 위한 해양레저용 기반시설, 해양박물관·어촌민속관·해양유적지·공연장·학습장·갯벌 체험장 등 해양문화·교육시설, 해양 전망대·산책로·해안녹지·조경시설 등 해양공원시설, 인공해변·인공습지 등 준설토를 재활용하여 조성한 인공시설을 말한다.
선박에 의하여 운송된 화물을 항만에서 선박으로부터 내려 화주에게 인도하거나 선박에 의하여 운송될 화물을 항만에서 선박에 싣는 사업을 말한다.
말뚝을 뽑아내는 전용기계가 있으나 가장 효율적인 것은 진동 파일 드라이버인데 말둑이나 강판말뚝을 뽑는데 많이 쓰이고 있다.
연강 등의 인장 시험에서 어느 응력에 도달했을 때 생기는 입자간의 미끄럼 현상. 항복 현상을 일으켜 응력. 변형 곡선이 비례 관계를 유지하지 않게 되어 미끄럼이 시작될 때를 상위 항복점이라 한다. 그 이후 응력은 일단 저하하고, 일정 응력을 유지하며 소성 변형이 진행한다. 이 때가 하위 항복점이다.
인장에 의한 연강의 재료 시험에 있어서는 응력. 변형도는 처음에는 비례 관계에 있지만 응력이 일정한 값에 도달하면 시험편 내에 급격한 활동이 생겨 응력이 상승하지 않아도 변형만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 현상을 항복이라 한다. 이것은 연강이 가지고 있는 특유한 성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