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506/1604)

물위에서 말뚝 박는 일을 하는 작업선으로서 기초 말뚝박기 공사에 쓰인다. 선체는 상자형의 배로서 갑판 위에 말뚝 박는 망루와 감아 올리는 윈치(Winch), 선체에 고정용의 윈치가 있다. 박는 방법은 바로박기와 비스듬히 박기가 있는데 말뚝박는 기계에는 드롭해머, 스티임해머, 에어해머, 디이젤해머, 바이브로해머 등이 쓰인다. 비자항선으로 말뚝을 타설할 때는 말뚝 운반선, 앵커선, 견인선과 공동으로 작업한다.
육지를 멀리 바라보며 항해하는 데 사용되는 해도로써, 선박 위치를 육지의 여러 가지 표시나 등대·등부표로써 결정할 수 있게 제작되어 있다. 축척 1/30만보다 작은 소축척 해도이다.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하여 해도 및 항해도서지의 정정사항과 해상교통 안전과 관련된 정보 즉, 암초, 사주, 침선, 수중장애물, 해상공사, 사격훈련, 조류 및 해류, 해저전선, 가공선 해사관련 법류, 표류 위험물 등을 수록하여 항해자에게 제공하는 간행물이다. 우리나라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매주 간행하고 있으며, 긴급을 요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방송국 또는 무선국을 통하여 통보하고 있다.
해구란 경사가 급하고 대륙 가장자리에서 평행하면서 비교적 좁고 기다란 심해저의 움푹 꺼진 해저지형을 말하는데 주위의 해저보다 약 2km정도 더 깊고, 수천 km까지 뻗어있다. 해구는 경사가 가파르며 비대칭의 V자 단면을 나타내고 급사면은 육지 쪽에, 완서면은 해양 쪽에 있다. 해구는 보통 수심이 6천m 이상이며, 대륙의 연변부에 많다. 해양에는 27개의 해구가 있는데 인도양에 1개, 대서양에 4개, 태평양에 22개가 분포한다. 가장 깊은 것은 11,034m의 Mariana Trench이다.
바다에 관한 모든 상황을 정확히, 일목요연하게 표현한 바다지도이다. 해도에는 시심·암초와 여러 위험물·섬 모양·항만시설·등대 등 표지시설·해안의 여러 목표물·육지모양·조석조류 및 해류의 유향, 유속 등이 표시되어 있다.
연안 및 해양의 자연 조건(수심, 해안선의 종류 등)을 나타낸 것이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서 항해용 해도, 수심도, 해저 지형도, 저질도(低質圖), 해류도가 있다.
대양저에서 높이 1~3km에 약 1,500km의 폭으로 6만km 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양쪽이 대칭적인 산맥을 말한다. 해저산맥 또는 대양중앙해령이라고도 한다.
수괴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흐르는 흐름으로서, 해수의 운동이 비교적 대규모이고, 장주기인 것이 특징이다. 해수의 운동에는 해류, 조류, 파랑, 해일 등이 있다. 세계의 주요한 표면해류에는 북태평양의 쿠로시오해류, 남태평양의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 북대서양의 멕시코 만류, 남대서양의 브라질 해류 등이 있다.
주로 탁월풍 등의 영향으로 일어나는 거의 일정 방향, 유속을 갖는 바닷물의 정상적인 흐름.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 남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계를 이루고 있다.
해류의 종류 및 유향·유속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