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요소가 봉상(棒狀)이고 이것을 적당하게 조합한 구조물. 구조 요소인 봉상의 것은 그 도심축을 이은 축선으로 대표된다. 축선의 결합점인 결점이 힌즈인 경우에는 이 구조물을 트러스, 강절인 경우에는 라멘이라 한다. 이에 비해 구성 요소가 평면판이나 곡면판과 같이 판상(板狀)일 경우에는 면구조물이라 한다.
구조 해석용으로 간단화된 뼈대의 모델로, 부재는 선재로 치환하고, 하중은 외력으로 치환하여 적절한 지점(支點) 조건을 설정한 것.
측점 상호간의 관계 위치(거리. 방향. 높이)를 구하는 측량. 지형도 등을 균일한 정밀도로 작성하거나 사이트가 불가능한 두 점간의 거리를 구하는 데 효과적이며, 다각형 속의 면적을 계산하는 데도 유효하다. 이 측량에는 트래버스 측량과 3각 측량이 있는데 트래버스 측량은 측점을 다각형 상으로 짠다. 3각 측량은 측점을 3각형 상으로 짠다.
골짜기에서 산정을 향해 부는 바람. 남향의 산의 사면에서 사면 고도가 높은 경우, 주간 일사를 받으면 사면을 따라서 상승 기류가 생기기 때문이다.
단면이 파도 모양인 철판을 의미하는 현장 용어.
콘크리트 결함의 일종으로, 타입한 콘크리트가 철근 등이 빽빽히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구석 구석까지 충분히 미치지 못하고 굵은 골재만 스크리닝된 모르타르와 굵은 골재가 재료 분리를 일으키는 현상. 공동, 기공이라고도 한다. 곰보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내부에 생기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발견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곰보 부분의 강도는 매우 작아 거의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보수에 의해 그 강도를 회복시켜 주는데, 그 방법으로는 좋지 않은 부분을 제
콘크리트 표면에 자갈만이 모여서 곰보 모양을 이룬 부분.
carpenter's square
일정한 토지가 이용되는 경우의 물량 혹은 활동량의 다소를 단위 토지 면적 등에 대한 비율(밀도)로 나타내는 개념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