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함유량이 0.6% 이상인 경강. 주로 공구재로 사용된다. 다른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탄소 함유량에 따라 저탄소강(c < 0.3%) : 리벳제, 중탄소강(0.3% < c < 0.6%) : 구조용 강재.
탄소의 함유량을 0.8∼0.9%로 증가시켜 내마모성을 크게한 레일이다. 탄소의 함유량을 더하면 강철은 단단해지는데 강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부서지거나 무른 성질이 있다. 가는 레일에는 물러서 위험하므로 탄소 함유량을 적게 하고 굵은 레일에 많이 넣어서 강도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현재 사용하는 레일은 고탄소강 레일에 가까운 것으로서 아래 표와 같은 성분의 것이다.
지질시대 해양의 형태·수심·수온·염분·유속·생물분포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해저퇴적물의 종류와 성질, 퇴적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 등을 연구자료로 삼는다.
그대로의 상태로 처분하면 비산, 유출 등을 일으켜 주변 환경에 해를 주는 것을 시멘트나 약액을 사용하여 고화, 안정화하는 것.
퇴적물이 굳어져 퇴적암으로 변하여 가는 과정을 말한다. 액체 또는 기체인 물질이 고체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퇴적물이 퇴적암으로 변성하기까지의 시일은 그 퇴적물이나 주변 여건 등에 따라서 각기 다른데, 오랜 시일이 걸리기 마련이며 크게 보아서 그 과정은 다져지는 일종의 압축과정과 속성작용의 하나인 교결작용을 거쳐 완성된다. 다져지는 작용은 지하 깊은 곳에서의 높은 압력으로 말미암아 그 퇴적물 자체 속의 공극이 줄어드는 과정이고, 교결작용 은 지하수 안에 용해되어 있는 퇴적물 자체의 입자 사이의 탄산칼슘, 규산, 산화철 등이 가라앉아서 입자를 결정시키는 과정이다.
관로에서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직관과 직관 사이에 삽입하는 이형관. 90°, 45°, 22(1/2)°, 11(1/4)°, 5(5/8)°곡관의 5종류가 있다. 이 각도는 편각의 각도이다.
어느 반경에서 구부러진 관. 또한 굽은 반경이 비교적 작은 것은 엘보(elbow)라 한다. bent pipe, curved pipe
양단을 뾰족한 새의 부리 모양으로 만들고, 중앙에 자루를 붙인 것으로, 단단한 토사를 굴착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
비교적 완만한 바닥경사를 갖으면서 평야를 흐르는 하천은 관성에 의해 대체로 뱀이 기어가는 것과 같이 꾸불꾸불하게 흐르는데 그 유로를 곡류라 하며, 이와 같은 하천을 곡류하천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