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면의 주곡률을 주는 두 방향(주방향)으로 향하는 곡선(곡률선)을 좌표 방향으로 하는 직교 좌표.
골짜기를 따라서 흘러내리는 빙하를 말하며, 히말라야(700~1300m/년)·알프스(40~200m/년)등에 발달되어 있고 빙하의 침식작용으로 골짜기는 U자형의 특수한 횡단면을 나타낸다.
지표면의 낮게 움푹 패인 점을 연결한 선. 곡합선(谷合線)이라고도 하며 지세선(地勢線)의 일종이다.
곡선 시점과 곡선 종점간의 곡선 길이. CL로 표기한다. - circular curve
둥근 곡선의 굽은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열차의 운행에 있어서는 되도록 곡선의 반지름이 느슨한 곡선이 바람직하다. 철도에서는 최소곡선 반경을 선로의 종류나 등급에 따라 구별하여 정하고 있다.
선로가 곡선 구간 내에서 분기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분기기로, 분기하는 선로가 곡선로의 내측으로 분기하는 것을 내측 분기기, 외측으로 분기하는 것을 외측 분기기라고 한다.
노선 중심선의 곡선상의 점을 지상에 설정하는 것. 도로. 철도 등에서 그 중심선의 방향이나 물매가 변화할 때, 이것을 곡선으로 연결하여 그 변화를 원활하게 한다. 곡선 설치 방법에는 편각 측설법(偏角測說法), 중앙 종거법(中央縱距法), 현편거법(弦偏距法) 등이 있다.
예정 건설물의 위치를 현지에 명시하는 것을 설치법이라 하고, 이 중 도로의 커브 등의 곡선부를 곡선 설치법이라 하고, 이 중 도로의 커브 등의 곡선부를 곡선 설치법이라 한다. 또 방향이 다른 두 도로를 이을 때에는 단곡선 또는 클로소이드 곡선이 쓰인다. 전자는 반경이 일정한 원호, 후자는 운전자가 일정한 각속도로 핸들을 돌렸을 때 얻어지는 궤적을 말한다.
노선 측량에 있어서 곡선 각부 명칭의 하나로 직선으로부터 곡선으로 전환하는점. BC로 표기한다. - circular cu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