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갈, 부순돌, 모래등과 같은 입상 재료로서 시멘트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 이용될 때 골재라 부른다. 골재는 사용상의 편의상 입자의 크기에 따라 일반적으로 5mm를 경계로 하여 굵은 골재와 잔골재로 구분되지만 실제로 굵은 골재에도 5mm이하의 잔골재 성분이, 그리고 잔골재에도 10mm까지의 굵은 골재 성분이 각각 15%까지 혼입되어도 괜찮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아스팔트 혼합물용은 2.5mm경계로 잔골재. 굵은 골재를 구분하고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골재를 중량 계량(重量計量) 하는 장치이다.
다공질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을 측정하는 경우, 골재립의 흡수(吸水)가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
원석. 천연 골재의 과대 입경의 것을 파쇄. 세정. 분급(分級) 등 일관적으로 골재 생산을 하는 설비.
골재는 물과 공기를 내포해서 다음 그림처럼 구성되어 있다. 간극률 n은 이 가운데의 물과 공기의 용적 Vv를 전체의 용적 V로 나눈 값을 %로 나타낸다. n Vv/V×100 e/(1+e)×100(%) Vv : 물과 공기의 용적, V : 전체 용적, e : 공극비
골재는 물 및 공기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골재 간극룰의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다. 골재의 전체 무게를 전체 용적으로 나눈 값을 겉보기 밀도라고 한다.
용기에 채운 골재절대용적의 그 용기용적에 대한 백분율
공기중 건조상태의 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까지 흡수하는 수량의 절건상태의 골재중량에 대한 백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