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 측량에 있어서 곡선 각부 명칭의 하나로, 곡선으로부터 직선으로전환하는 점. EC로 표기한다. - circular curve
선의 방향이 변화하는 경우를 곡선이라 하다. 곡선에는 단곡선 (curve of single curvature)과 복곡선 (curve of double curvature)의 두 종류가 있다.
평면형에 따라 교량을 분류하면 직교(直橋)와 사교(斜橋), 직선교와 곡선교로 나누어진다. 곡선교에는 교량 거더는 직선이지만 노면이 곡선인 경우와 교량 거더와 노면 모두가 곡선인 경우가 있지만 전자는 문제가 거의 없다. 주의해야 할 문제점은 후자 쪽에 많으며 후자만을 곡선교라 부르는 때가 많다 [이 중에는 다각형 절선(折線) 거더도 포함된다]. 곡선교는 항상 큰 비틀림 모멘트를 받기 때문에 메인 거더가 I형인 경우는 튼튼한 수평 거더가 들어간 격자
선로는 가급적이면 직선이 바람직하나 지형상 부득이하게 곡선을 넣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둥근 곡선을 이용하여 굽는 정도의 완급을 반지름으로 나타낸다. 반지름은 되도록 큰 편이 바람직하다. 또 곡선부에서는 차량의 주행을 쉽게 하기 위해 캔트(cant), 슬랙(slack), 완화곡선의 삽입 및 건축한계의 범위를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곡선식에는 그래프식 공정표. 생산고 누계 곡선 공정표. 바나나 곡선 등이 있으며, 공정의 생산고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한다.
컴퍼스로 그릴 수 없는 곡선을 그리기 위한 자. 운형자, 스플라인, 자재 곡선자, 프로이드자 등이 있다. curve rule
곡선자는 세로축에 압밀도 U, 가로축에 시간 계수 Tv의 상용 대수를 잡고, 압밀도의 스케일을 바꾸어 그린 압밀 이론 곡선군으로서 측정 결과와 합치하는 곡선자를 선택한다. 이 곡선의 t50 선에 대응하는 시간이 압밀도 U 50%에 대한 시간 t50이다. 이것으로부터 압밀 계수 Cv 를 다음 식으로 구한다.
목공이나 석공등이 사용하는 금속제의 L자형 자. steel square
현재(弦材)가 다각형을 이루고 있는 트러스. 지간 60m 이상의 것은 이 방식으로하면 부재 응력이 작아지게 되지만 최근에는 공법이 간단한 평행현(平行弦) 트러스를 이용한다.
나이테에 직각 방향으로 쪼갠 제재의 면에 나타나는 나뭇결. 고운곧은결, 막곧은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