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조 부재, 마감 재료 등과 같은 구조물 자신의 무게, 또는 구조물상에 상시 고정된 물품의 하중. dead load
정지되어 움직이지 않는 일반 교량. 가동교에 대하여 특별히 구별할 때 쓰는 용어.
단순 지지의 교량에 있어서 수평 방향의 이동은 구속되어 있으나 회전은 자유로운 단부(端部). 일반적으로 단순 지지되어 있는 교량을 단순교라 하며, 반드시 고정단과 가동단을 가지고 있다. 고정단에는 고정 받침이 사용되고 있다.
고정단에 생기는 저항 모멘트 반력의 일종.
수압 철관이 지상 또는 터널 속에서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경우, 수압 철관에는 내압, 관의 자중 (自重), 관내 물의 중량, 온도 변화 및 지진력, 그 밖의 여러 외력의 작용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이 변위를 구속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제 또는 철근 콘크리트제이다. 수압 철관의 만곡부에는 불평균력이나 원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고정대를 설치한다. 만곡이 없는 경우에도 안정상 120 ~ 150m 마다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
양끝 모두 고정된 보.
생산량의 증감과 관계없이 고정적인 지출액이 되는 비용.
밑면이나 측면이 수류에 의해 이동하는 모래와 자갈 등이 아니라 콘크리트 등의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 수로를 고저상(固低床) 수로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의 밑면을 고정상이라 하며 해저 등에도 이 용어를 사용한다. 밑면이 자갈로 구성되어 있어도 보통 때의 흐름으로는 자갈이 이동하지 않고 밑면 요철의 거칠기 효과뿐일 경우는 수리학적으로 고정상이다. 자갈 밑면 위의 흐름이나 파동 현상도 고정상 위의 수리 현상으로서 설명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해양구조물을 해저면에 접지시키고 고정시킨 형식을 말한다.
저조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조석에 의해 해수면이 하루 중에서 가장 높아진 상태를 말하며, 만조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