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11/1604)

(1) 공작에 사용하는 소기구의 총칭. 기계 공작에서는 절삭 기구, 전기 공사에서는 플라이어 등이 있다. (2) 물건을 제조하거나 또는 작업하는 데 사용하는 기구를 총칭하는 것. 톱 , 대패, 흙손 등
각종 절삭 가공용 공구. 소성 가공용 공구. 계측용 공구 등에 사용하는 고탄소강의 총칭. 탄소 함유량 0.6 ~ 2.5%의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cement void ratio theory
암석이나 토양에 존재하는 빈틈(간격)을 표시한 비율로서, 간극률이라고도 한다. 공극률은 (공극부피/전체부피)×100%으로 계산된다. 퇴적물에서는 분급도(sorting) 및 입자 짜임(최대 : 정육면체, 최소 : 마름모꼴)이 공극률의 주요 변화요인으로서, 일반적으로 점토입자 퇴적층은 75‰이상, 석영 사립층은 30‰이상이 물이나 공기로 채워져 있다. 공극률이 큰 토양(모래·자갈·집괴암 등)은 물이 침투하기 쉬워 투수층을 이루고, 공극률이 적은 토양(점토·화강암 등)은 불투수층을 이룬다.
골재의 단위 용적 중의 공극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 일반적으로 천연 모래에서 27~47%, 굵은 골재에서 30~55%이다. - solid volime percentage
충전물(充塡物)과 분립체(粉粒體)의 전체 용적에 대한 공간 용적의 백분율을 말한다. 점토는 45%, 모래는 35% 정도이지만, 유체가 통과할 때는 점토 등 공극률(空隙率)이 비교적 큰것이라도, 입자간의 유지력의 영향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는 공극률은 점토 3%, 모래 25% 정도이다.  
지층을 구성하는 입자 사이의 틈(공극)을 채우고 있는 물을 말하며, 간극수라고도 한다.
아스팔트의 포장에 있어서 단위 부피의 공극률의 비율을 100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공시체의 공극률은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전기 사업에 있어서 안정된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설비의 사고, 갈수(渴水), 수요의 변동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공급력(방전 설비)에 어떤 적당한 예비력을 확보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 공급 예비력을 어느 정도 보유하는가 하는 것은 수급 계획, 나아가서는 전원 개발 정책상의 중요한 요소이다. 예비력의 적정 보유량은 공급력의 8~10% 정도인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상하수, 전력, 가스, 열, 쓰레기, 정보 등의 공급 처리를 위한 배관과 케이블, 공동구(共同溝), 공동 동도(共同洞道)의 총칭. utility line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