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이 뱀처럼 S자형을 이어 붙인 것처럼 굴곡하는 현상. 하천의 흐름이 자연 물매로 되려고 하기 때문에 생겨난다. 평야 또는 넓은 골짜기의 밑바닥 위를 굴곡하는 것과 산간부에 뚫린 사행(蛇行) 모양으로 굴곡하는 것이 있다.
곡선상에 2점 A (s), A'(s + Δs)를 취하고, A, A'에 있어서의 접선간의 각을 Δs, 곡선을 따라서 정점(定點)에서 잰 길이를 s로 하면 1/p lim× (Δw /Δs) dw /ds 를 점 A에 있어서의 곡선의 곡률, p를 곡률경이라 한다.
흙의 입도 시험에서 얻어지는 입경 가적 곡선(粒徑加積曲線)의 통과 질량 백분율이 10%, 30%, 60%의 입경을 각각 D10, D30, D60 으로 했을 때 U'c (D30)2/D10·D60으로 나타내어지는 계수. 일반적으로 U'c 1 ~ 3 인 경우는 입도 분포가 좋다.
곡선이 굽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곡률이라 하고, 곡률의 역수를 곡률 반경이라 한다. 곡률 반경을 r로 하면 곡률은 r/1이다.
곡선상의 1점에서 그 곡선에 접하는 원의 반경으로, 곡률의 역수.
곡선부의 토공량 산정에서 단면의 도심과 노선 중심선의 어긋남에 의해 요구되는 보정.
지구 표면이 구면이므로 고저차에 생기는 오차. 시준선은 직선이라도 2점간의 거리가 커지면 그 사이를 잇는 선은 직선으로 보기 어렵다. 고도각과 거리로 계산되는 고저차 BC와 h는 일치하지 않는다.
곡선상의 s 및 s + Δs 점에 있어서 법선 만난점의 극한값.
곡선상의 한 점에서 그 법선 방향으로 곡률 반경과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말한다.
곡률의 크기에 따른 척도로 기입되는 도면. 종점을 향해 좌회전은 처럼, 우회전은 처럼 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