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의 상부 구조를 지지하는 받침 중 수평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 받침.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림은 슈와 솔 플레이트(저판)로, 고정단은 솔 플레이트에 노차가 있다. 슈 대신 베드 플레이트를 사용한 간단한 것도 있다.
대기 오염 발생원의 하나. 공장, 사업소, 가정, 발전소, 청소 공장 등과 같이 장소적으로 고정한 발생원.
살수여상(撒水濾床)에 하수를 살포하는 한 방법. 여상면 아래 약 30cm 깊이에 송수관을 만들고 여기로부터 다시 분기관을 분기시킨 후, 이 분기관으로부터 수직 상승관을 세워 그 끝에 급수전과 노즐을 붙이고 여기로부터 하수를 살포하는 방법.
슬래브의 2변, 3변 또는 4변이 고정된 것. 건축물의 합성 거더의 바닥판 등이 이것에 상당한다.
항상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는 신호기. 주신호기. 종속 신호기. 신호 보조기의 3종류가 있다.
무힌지 아치라고도 하며, 아치의 도중에 힌지는 없고 또한 아치의 양단도 완전 고정으로 하여 지점의 각(角)변화까지 구속해 버린 아치이다. 이것은 3차의 부정정(不靜定) 구조물이며 그 대부분이 상로(上路) 형식이고 예전에는 석공 아치 등에 ꏇ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것이 가장 많다. 또 철골을 이용한 라멘 아치로서 긴 지간(支間)을 걸치는 것도 있다. 아치 축선을 2차 포물선으로 한 상로 고정 아치는 강
(1) 수면을 높일 목적으로 하도를 횡단하여 설치되며, 월류하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가동 부분이 비치되지 않는 공작물. (2) 높이가 10m 이하의 고정 둑. 하천으로부터의 취수, 하천의 유량 조절 등을 위하여 설치되는 것.
보의 끝이 단단하게 매입된 구조로서 수평 방향. 연직 방향으로의 이동은 물론, 회전까지 가능하도록 고정된 지지점. 그림과 같이 수평 반력 H, 연직 반력 V, 휨 작용에 저항하는 모멘트 M의 세 가지 반력이 생긴다.
1개의 불요성(不撓性) 대차 또는 보기(bogie) 틀에 설치된 고정축 중 최전위에 있는 것과 최후위에 있는 것과의 차축 중심 간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