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높은 염분의 해수를 말하며, 증발량이 많고 대양과의 순환이 제한된 지역에 존재한다. 해수의 염분은 평균 35‰ 정도이지만, 위도 20~30°의 아열대 해역에서는 36~37‰의 고염수대를 형성하며, 홍해는 40~43‰에 이른다.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에서 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고압하에서 양생하여 강도 출현을 늘리는 조작. hot pressed curing
오니 소화조 (汚泥消化槽) 내의 온도를 40℃ 이상으로 가열하여 소화하는 것. 단기간(17일 전후)으로 소화는 종료되지만 실제로는 소화조의 가열에 많은 연료를 필요로 하고 바깥 공기와의 온도차가 크게 되어 열을 빼앗기기 쉬우며 또한 가열장치에 오니가 달라 붙어 열의 전도가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별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 period of digestion, temperature in digestion tank
당사자의 한쪽이 상대방에 대하여 어떤 노무를 제공하고, 상대방이 그에 대하여 보수를 지불하는 것. 또 넓게는 취업의 의미로도 쓰인다.
진동체의 자유 진동일 때의 주기. 그 물체에 고유한 값을 취하므로 고유주기라 한다. 고유주기와 외력의 주기가 같을 때에는 공진을 일으킨다. 단위는 초.
자유 진동, 규준 진동, 규준형의 진동, 탄성 진동계의 진동인 경우, 자유 진동의 주기, 감쇠성 모드는 언제나 일정하다. 이러한 진동계 고유의 진동을 말한다. 고유 진동에는 기본 진동(1차 진동) 및 고차 진동(2차 진동, 3차 진동 등), 여러 고유 진동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 스프링 등의 고유 진동. natural vibration
구조물에 주기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고 자유로 진동시켰을 때의 진동을 말하며, 그 진동수는 구조물의 형상이 일정하면 강성(剛性)과 중량(질량)의 분포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현수교 등의 길고 큰 구조물을 제거할 경우 문제가 되는 점은 굽힘 진동이며, 지진 등 외력의 주기가 구조물의 고유 주기와 일치한 경우에는 진동의 진폭이 비정상적으로 크게 될 염려가 있다. 또한 보도교 등에서 그 고유 진동수에 따라서는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수가 있다. 진동수
natural vibration
진동계가 각차의 고유 모드로 정상 진동을 할 때의 형태를 나타내는 함수로, 보통 최상층 또는 최하층의 진동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