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기압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높이가 같은 면에서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곳을 말한다. 등압선의 모양은 환상을 이루고 있으며,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분다. 일반적으로 고기압은 규모가 대단히 커서 직경이 1천~4천km에 이르며, 고기압권 내에서는 날씨가 맑은 날이 많다. 여름철 우리나라의 기후를 지배하는 북태평양고기압은 온난고기압이고, 장마기에 나타나는 오호츠크해고기압은 한랭고기압이다.
기준면에서 연직선에 따라 측정한 길이. 천체(天體)의 고도는 그 천체를 통과하는 수직 대원(大圓) 의 호(弧) 에 따라서 수평면에서 천체까지 측정한 각거리(角距離).
도시 계획에 있어서의 지역제의 하나. 건축물의 고도를 규제하는 것이다. 도시 계획상 또는 도시의 토지 이용상 도심, 부도심 등에서 토지의 이용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서는 건축물 높이의 최저한도를 정하여 낮은 건물의 신축을 규제하거나 또는 저층의 주택 등이 많아 좋은 환경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 등에서는 일조, 통풍, 프라이버시 등 주거 환경의 쾌적성(amenity)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건물 높이의 최고 한도를 정하여 고층 건축물을 규제
altitude, vertical angle
중력관측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측정지의 중력을 지오이드상의 중력으로 보정하는 것을 말한다. 육상에서의 중력은 측정지의 높이 때문에 지오이드상의 중력보다 작으므로 감소된 중력값을 더해서 지오이드상의 중력값을 구하게 된다.
최근의 정수방법으로 종래의 급속여과법에 오존처리와 활성탄처리를 추가하여 쓰고 있다. 급속여과만으로는 트리할로메탄 등 유기염소화합물이 형성되던 폐해나 곰팡이 냄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이 정수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3급수 이상의 더러운 물은 고도 정수처리를 해야 한다. 그러나 낙동강의 상수원이 3급수 이상으로 오염되었음에더 불구하고 정수처리가 제대로 보급되지 않아 식수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연체동물의 한 강으로서, 달팽이·고둥·소라·우렁 등이 대표적이며, 복족류라고도 한다.
농어류에 속하고 온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바닷물고기로서, 몸길이 30cm정도이다.
지표면에 물을 흐르게 하여 배수하는 밭( 地) 관개의 일종으로, 경사진 고랑의 한쪽 끝에서 물을 흐르게 하여 물의 선두가 흘러 내려감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물의 뿌리을 적시는 관개 방법의 일종. 고랑을 만들어 경작한 작물이나 과수에 대해 널리 사용된다. 토질. 지형. 작물에 따라 관개수를 밭 전체에 균등하게 배분하도록 해야 한다.
포유류에 속하며, 고래는 세계에 약 100종이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밈길이 4~5m 이상의 것을 고래, 소형의 것을 돌고래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