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를 방지하기 위한 공사. 하도 개수 방식과 홍수 조절 방식으로 대별된다. 하도 개수 방식은 제방을 쌓는다거나 하도를 정리하여 홍수의 범람을 방지하는 것이다. 홍수 조절 방식은 유수지를 만든다거나 댐을 축조하여 저수지를 만듬으로써 홍수의 일부를 저수하여 최대 유량을 경감시키는 것.
호안 중 고수일 때의 흐름에 대한 것을 말한다.
복단면을 가지는 하천으로서 수위가 높을 때만 침수하는 수로를 말한다.
[1] 1년에 한 번이나 두 번 일어날 정도의 홍수위 수위. [2]장기간의 관측에 의한 수위 데이터 중에서 평균 수위보다 높은 것.
제외지에서 고수인 경우에만 물에 잠기는 토지 부분.
인공 조절댐에서 댐의 정상에 달린 게이트(크레스트 게이트)만으로 필요한 홍수 조절량을 취할 수 없는 경우, 제체(堤體)에 방수관을 통해 그것에 고압에서의 반개방류(partial open)에 견디는 게이트(고압 게이트)를 달아 홍수 조절에 따른 방류는 이 고압 게이트로 하며, 크레스트 게이트는 이상(異常) 홍수의 안전한 방류 때에만 사용하는 댐이 많다. 이 경우 고압 게이트[상용(常用) 게이트]의 앞에는 그 고장에 대비하여 비상용의 개폐만을 위한 게이트
고압의 전기를 사용하는 배선. 우리 나라에서는 전기 설비 기술 기준에 의해 교류 600V를 넘고 7,000V 이하의 전압이 고압으로 정해져 있다.
autoclave cure
고압의 충전전로의 점검이나 수리 등의 작업을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1) 노무자에게 절연용 보호도구를 착용시킨다. 2) 노무자에게 활선 작업용 기구를 사용케한다. 3) 노무자에게 활선 작업용 장치를 사용하게 한다.
야간에 헤드라이트의 빛을 지향성 반사(반사 광 속의 대부분이 입사광과 동일 방향의 좁은 범위로 확산 없이 방향성을 가지고 되돌아오는 반사)시키는 기능을 가진 단체(單體)의 유리 구슬. 흔히 도로 등에 사용되어 운전자의 시선 유도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