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의 강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틀랜드 시멘트. 분말도가 약간 곱고,화학 성분상 석회분이 약간 많으며 규산 3석회 함유량이 크다. 일반적으로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는 습식법에 의해 만들어지며 보통 시멘트에 비해 장기 강도는 크고, 응결은 빠르나 대차는 없으며, 수화(水和)시의 발열은 약간 크다. 이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투수가 적다.
일반적으로 항복점 30kg/mm2를 넘는 철근 콘크리트용 이형 봉강.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높은 압축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의 총칭. 따라서 용도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는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압축 강도가 400kgf/cm2 정도 이상의 콘크리트를 고강도 콘크리트라 한다.
높은 강도로 더구나 유동성이 좋을 것을 얻기 위해서 개발된 콘크리트이다.(SEC : sand enveloped with cement) 모래의 표면수를 조정하여 시멘트를 1차로 반죽하고 이어서 수량을 추가해서 2차 반죽을 한다. 품질관리는 모래의 표면수에 대한 관리가 가장 중요하며 비교적 용이하다.
원심 성형법에 의해 공장 생산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의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PHC pile
인장 강도 50kg/mm2 이상, 항복점 30kg/mm2 이상의 강을 총칭. 성분 첨가에 의하는 것과 열처리 조질강이 있다. 100kg/mm2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는 것까지 제조되고 있다.
지반 개량 공법의 하나. 시멘트나 약액의 주입 또는 동결에 의해서 지반의 불투수화 혹은 강도 증가를 도모한다.
1일 2회 있는 고조중에서 조위가 더 높은 고조를 말하며, 높은고조라고도 한다.
장기 조석관측에서 실측된 가장 높은 조위로서, 천문조에 의한 최고조위와 기상조에 의한 이상조위가 합쳐진 조위이다.
콘크리트 품질 등급의 하나. 특히 신뢰성이 높은 콘크리트를 필요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골격을 대상으로 한 콘크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