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315/1604)

kinematic viscosity, coefficient of kinematic viscosity
점성 계수 u와 밀도 p의 비. vu/p. 단위는 보통 cm2/s 를 사용하는데 이 단위를 스토크스라고도 한다. 물의 동점성 계수는 1기압 20℃ 에서 v0.0101cm2/s 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점성계수 u(kg. s2/m2)를 밀도 p(kg. s2/m4)로 나눈 값 v(m2/sec)를 말한다. kinematic coefficient of viscosity
황도 위에서 태양의 적위가 최소(23°27′)로 되는 점으로, 태양이 가장 남쪽에 왔을 때이다. 동지는 12월 22일경이며, 북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고, 남반구에서는 반대다.
흙 구조물 등의 시공 중 혹은 시공 후의 거동을 경시적으로 관측하는 것. 이에 의해 공사에 따르는 지반의 변화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고, 공사의 안전 관리에도 도움이 된다.
흙 속의 간극수가 동결하여 고결 상태로 된 토층 혹은 토괴(土塊).
지진력. 풍압력. 기계의 진동과 같이 힘의 크기나 방향 등이 변화하여 구조물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외력. dynamical load - dead load
동해로 유입된 대마난류의 지류가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해류를 말하며, 동한해류라고도 한다. 동한난류는 10℃ 이상의 고온과 34.4‰ 이상의 고염분 특성이 있으며, 수심 약 50~150m까지 영향을 미친다.
동과 다른 금속과의 합금. 황동은 동에 아연을 가한 합금, 청동은 동에 주석을 가한 합금이다.
동해는 한반도·일본열도·시베리아 동부지역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남으로는 대한해협, 북으로는 Tsugaru·Soya·Tartar해협을 통해 북태평양에 연결되는 연해이다. 총면적은 1,008×103㎦, 평균 수심은 1,360m로서, 황해나 남해에 비하면 면적이 넓고 수심이 깊은 것이 특색이다. 동해에서는 동한난류와 북한한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해류이며, 동해 남부의 표면수온은 여름에는 26~27℃, 겨울에는 10℃내외이다. 그리고 동해의 조석은 매우 적어 조차는 0.3m내외이며, 일조부등이 매우 현저하여 일주조가 되는 수가 있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