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재, 굵은 골재, 콘크리트, 모르타르, 기와, 벽돌, 타일 등의 안정성, 내구성 또는 내해성을 판정하는 시험법. 시험하고자 하는 물체를 흡수시켜 빙점 하에 냉각 동결시키고, 이어서 상온으로 되돌려 융해시키는 조작을 반복하여 이상을 나타내기에 이르는 사이클수로 판정한다.
지반 등의 간극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외기온도의 변화와 더불어 동결과 융해를 반복하는 것. 이 작용에 의해 기암(基岩) 등이 서서히 파괴된다.
0℃ 이하의 기온과 일수이 곱을 연간을 통해서 누계한 값. 이 지수는 적설 한랭 지역에 있어서의 포장의 설계에서 동결 깊이의 계산에 사용한다.
땅안의 물을 동결시켜 솟는 물을 그치게 해서 토양의 강도를 증가시킨 다음에 굴착하는 공법인데 동결된 흙의 강도마져 기대된다. 굴착에 앞서서 원지반 안에 동결관을 설치하여 냉각액을 순환시켜서 동결한다. 지하 수위가 높은 연약지반이나 하천 아래 등을 팔 때 쓰인다. 순환방식의 브라인방식과 저온액화 가스방식이 있다.
지하에 구조물을 만들 때 지반강화와 지수를 도모하기 위해서 지반을 동결시키는 공법이다. 더없이 높은 강도(-15℃으로 30kg/cm2∼200kg/cm2 정도)를 얻기 위한 신빙성이 높은 공법이기는 하나 반면에 코스트가 높고, 지하의 수류가 빠른 경우에는 동결이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다. 동결방법에는 브라인(brine) 순환식과 액체질소의 기화방식이 있다.
냉매를 불어 넣어, 해수를 그 빙점(약 -1.7。)까지 냉각하면 얼음 결정이 석출된다. 이 얼음을 분리 세정한 후 융해시켜 담수로 만드는 방법. 저온 조작이며, 재질의 부식이 적기 때문에 장치에 저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양쪽 눈의 동공 중심을 잇는 선의 거리. 사람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개 65mm이다.
인으로 탈산처리한 주괴로부터 이은 곳없이 제조하는 탈산된 구리 관이다. 시공이 간단하고 관내에 스케일(sacle)의 발생도 없고 마무리가 깨끗해서 노출하는 배관에 적당하나 관의 두께가 얇으므로 차량의 교통이 빈번한 혹은 원수에 유리탄산이 많은 수도에는 주의를 해야 한다.
겨울은 시베리아 방면 대륙의 기온이 -20℃ 내외로 저하하는 반면, 태평양은 따뜻하여 기온이 22℃ 정도로 된다. 이 기온차가 대류를 일으켜 저기압을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일어나는 바람을 동기 계절풍이라 한다. 계절풍의 영향 범위는 지름 2,000 ~ 3,000km에 미치며 태풍에 비해 훨씬 넓지만 기압 경도(硬度)가 완만하기 때문에 풍속은 태풍보다 작아 일평균 10m/s 정도이다. 또한 풍향은 서 ~ 북서 방향으로 거의 일정하며 취속(吹送
단위 시간에 대한 일의 비율. 일의 율 또는 공률(工率)이라고도 한다. 동력의 단위는 다음과 같다. W 1J/s 1kW 101.97kgm/s 102kgm/s 1kgm/s 9.80665W 1PS 75kgm/s 735.5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