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이 얼어서 지면을 들어 올리는 현상. 들어 올리는 힘은 강대하며, 철도의 침목을 들어 올린다든지, 건물의 기초를 들어 올려 경사. 변형을 일으키게 한다. 건물의 기초는 동결하는 지층의 깊이(지하 동결선이라 한다)보다 깊게 할 필요가 있다.
적설 한랭 지역에서의 포장에서 동결을 고려하지 않고 구한 포장 설계 두께보다 동결 깊이에서 구한 치환 깊이 쪽이 큰 경우 동결 방지를 위해 그 차 만큼 노반하의 층에 동상(凍上)을 일으키지 않는 재료로 설치한 층.
동상을 억제하기 위해 동상하는 흙의 표면에 가하는 압력(하중). 토질에 따라서 값은 다르다.
관수로의 각 단면에서 압력 수두 p/w와 위치 수두 z의 합(p/w + z : 피에조 수두라 한다)을 늘어 놓은 선을 동수 구배(물매)선, 동수 구배(물매)선이 수평과 이루는 기울기를 동수 구배(물매)라 한다.
원형 이외의 단면을 갖는 관에 대해서도 저항 계수에 관련한 공식이 이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안지름 d라고 하는양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관단면적을 주변의 길이로 나눈 값을 사용하며 이것을 동수 반경이라 한다. 안지름 d인 원관의 동수 반경은 R (πd2/4) / (πd) d/4 개수로에서는 유수 단면을 물에 접하는 주변의 길이로 나누어 이것을 동수 수심 또는 경심이라 부르고 있다.
관중을 흐르는 물이 시간적으로 변화하기 않은 흐름이 있을 때 관에 수없이 많은 압력계(manometer)를 장치해서 얻어지는 수주의 높이를 피이조(piezo) 수두라고 한다. 동수경사란 피이조 수두의 경사를 말한다.
흐르는 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의 유수단면적 A를 물에 접한 경계면의 길이 S(윤변)로 나눈 값이다.
지진시 댐에는 지진 파고를 가산한 정수압 외에 지진의 가속도에 의한 동수압(물의 관성력)이 작용한다. 댐의 설계에 있어서 이 동수압은 상시 만수면 이하의 연직 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다음 식으로 계산되고 있다. Pd (7/8)W0k1 √Hh (Westergaurd 의 근사식) 여기서, Pd : 단면상의 임의의 점에 있어서의 동수압(tf/m2), W0 : 물의 단위 체적 중량(t/m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