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공간은 도심부를 중심으로 토지 이용이 동심원상으로 분할되고, 그 외주 방향으로의 발전이 이루어진다고 하는 이론.
대양의 동해안 가까이에서 남으로 흐르는 흐름을 동안경계류라 하며, 캘리포니아해류가 대표적이다.
흐름 속에 작은 물체를 두면 물체의 상류측에 생기는 흐름이 막히는 점의 압력은 일정 유속부의 압력보다 커지게 된다. 이 압력의 증분을 동압력이라 한다. 이것은 흐름의 속도 수두와 같다.
주로 물체의 힘과 운동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정역학(靜力學)에 반대되는 말.
원자번호는 같지만 질량수가 다른 원소를 말하며, 화학적 성질은 같으나 원자량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어떤 원소의 화학적 성질은 그 원소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원자핵 내에 있는 양성자의 수, 즉 원자번호에 의해 결정되며, 원자의 질량은 양성자와 중성자의 수의 합, 즉 질량수에 거의 비례하므로, 동위원소란 같은 수의 양성자를 가지고 중성자의 수만이 다른 원자핵으로 이루어지는 원소들이라고 할 수 있다. 160/180와 12C/13C 같은 동위원소 농도비는 해양에서 여러 기작을 규명하는 도구로서 이용된다.
구조물 등에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하중을 작용시키는 것.
구조물에 동하중이 작용했을 때 부재에 생기는 시간적인 변형의 변화를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계기. 일반적으로 시간적인 변형의 변화를 기록하는 데 펜 기록 오실로그래프나 전자(電磁) 오실로그래프를 이용한다.
구조물의 고유 진동 주기나 감쇠 특성 등의 동적 특성을 고려하여 그 응력 상태나 변형을 해석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지진시 구조물의 거동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넓은 의미로는 수정 진도법(修正震度法)등, 표면적으로는 정적인 해법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구조물 전체의 진동 방정식을 풀어 고유 주기를 구하고 가정한 지진에 대한 응답을 구하는 것이다. - modified seismic coefficient method
로드에 붙인 저항체를 타격 에너지로 지반 속에 박아 넣고, 일정 길이 만큼 박아 넣는 데 요하는 타격 횟수에서 지반의 강도나 변형 성상을 살피는 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