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활동의 중심이 되는 장소로, 상시 수천 혹은 수만의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가옥이 밀집하며 교통로가 집중하고 있다.
광역 지역 내의 주택. 사무실. 공장 등에 배관 시설을 통해서 공급되는 가스의 총칭.
도시화 현상 가운데서 점포, 사무실, 주택 등의 도시형 건축 개발을 하는 것.
도시의 현재에서 장래에 걸친 종합적인 토지 이용 계획. 이를 위하여 토지의 용도 및 용적적인 이용 계획을 근간으로 하여 모든 공공적 시설의 계획, 즉 가로(街路). 철궤도. 공원. 묘지. 상하수도. 소각장 등 제반 시설의 계획이 포함된다.
건강하고 문화적인 도시 생활 및 기능적인 도시 환경을 확보하고, 도시의 건전한 발전과 질서있는 정비를 도모하기 위한 계획.
도시를 물적으로 정비하는 계획과 그 실현과정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는 산업 혁명 후의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구미에서 발달한 근대 도시 계획을 말한다.
어느 도시의 도시 계획을 세우는 경우 장래의 발전 상황을 보아 각종의 토지 이용이나 시설 계획을 정하는 일정한 구역. 법률적으로는 이 구역 내가 아니면 지역 지구제의 지정, 각종 도시 계획 사업을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행정 구역과 일치하는 것이 많으나, 도시의 세력권이나 발전에 따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도시 계획법에 의해 정해진 구역.
도시 계획 구역의 인구, 산업, 토지 이용, 교통 등에 관한 현황 및 장래의 전망을 얻기 위해 대체로 5년마다 실시되는 조사. 도시 계획 책정의 기초 정보로 활용된다.
국도, 지방 도로 등의 구별과는 별도로 도시 계획 구역 내의 주요 도로로서 결정되어 도시 계획 사업으로서 건설되는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