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도로가 지표면에서 그물망으로 분포되어 있는 상태. 도로를 근간으로 도. 읍. 면 소재의 도로가 보조적 역할을 하여 도로망을 형성한다. net of roads, highway net
각종 도로가 지표면에서 그물과 같이 분포되어 있는 상태. 국도를 근간으로 도. 읍. 면. 도가 보조적 역할을 하여 도로망을 형성한다.
1) 도로를 굴착해서 그 곳을 교통용으로 제공할 때는 되메우기 덮개공을 해서 노면과의 단차가 없도록 한다. 2) 부득이 단차가 생길 때는 5% 이내의 경사로 한다. 3) 공사를 위해 교통을 제한하지 않으면 안될 때는 도로관리자 및 경찰서장의 지시에 따른다. 이 경우에는 차량폭은 3m 이상, 보도폭은 75cm를 최저로 한다.
1) 도로상에서 작업을 할 때는 그를 위한 구역을 주위에서 명백히 구분해서 그 안에서 일을 한다. 2) 도로상의 작업장 출입구는 통행하는 뒷면으로 하고 통행하는 평행면으로 출입시킬 때는 안내인을 배치한다. 3) 도로상의 작업장 출입구는 미닫이 문식(sliding door type)의 문짝을 설치하여 출입금지 표시를 한다. 4) 도로에 접하는 작업장의 경계에 울타리를 만들어 1∼1.5m 간격으로 가시거리 150m 이상의 보안등을 설치한다.
도로 공사나 정지 작업에서 지면을 다지는 데 사용하는 전압(轉壓) 기계. 머캐덤 롤러(Macadam roller), 탠덤 롤러(tandem roller), 3축 탠덤 롤러, 타이어 롤러가 있다.
차량이나 자전차 또는 보행자에 의한 교통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장애물이 들어올 수 없는 공간을 말하는데 그림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경제적 기준으로 평가한 도로 정비의 효과. 주행 시간, 주행 비용, 교통 사고, 소음 등의 삭감의 직접 효과와 고용 증대 등의 간접 효과가 있다.
도로의 설계를 진행하는 가운데 동일한 설계기준을 이용하는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와 그 이외의 도로로 크게 나누어 그 지역 및 설계속도의 상황과 계획교통량에 대응시켜 분류한 것으로서 도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분된다.(그림 다음 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