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배수를 좋게 하고 도로를 안정하게 하며, 노면에 잠긴 물을 방지해서 교통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서 설치하는 설비를 말하는데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도로부지내에 내리는 표면 배수의 설비, 2) 인접 지역에서 유입하는 표면 배수의 설비 3) 노면 밑의 모세관 상승 방지와 지하수위를 저하시키는 배수시설, 4) 인접지역에서의 침투수를 방지하는 배수설비 등이다.
평면적으로 본 도로의 형상.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의 쾌적성이 요구된다.
도로의 단위 구간에 대한 고저차를 중심선의 수평거리로 나눈 값을 말하는데 % 또는 %0로 나타낸다. 도로 구조령에서는 자동차의 등반 성능을 고려해서 최대 경사를 120km/h-2%, 100-3, 80-4, 60-5, 40-7, 30-8, 20-9 처럼 규정하고 있다. 특별한 사정으로 위의 최대경사 이하로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한 길이의 규정 또는 등반 차선 등의 설치를 고려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도로의 평면 모양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동시에 시공상의 기본선이 되는 것으로서 폭을 넓힌 부분을 제외한 도로의 중앙을 그리는 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하구를 폐쇄하는 대책으로서 사용된다. 기능은 1) 하천 줄기를 둑에 잇닿아 흐르게 하여 퇴사를 해안에서 멀리 흐르게 한다. 2) 沿岸漂砂를 저지하여 하구퇴사를 감소시킨다. 3) 하도를 안정시키는 등이 있다. 도류 둑의 길이는 물결이 높고 먼 얕은 해안처럼 길어진다. 도류 둑의 길이는 첫째 쇄파대를 가로지를 수 있는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도류 둑은 不透過構造라야 한다. 투과성이 높은 블록 도류 둑은 효과가 없다.
냇물이 다른 하천 또는 바다나 호수에 들어갈 경우에 물줄기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유수를 유도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공사이다.
하천의 합류점 등에서 유수를 순조롭게 안내하기 위한 제방이나 수제 등의 공사. 제방과 수제를 조합하여 두 하천의 물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도로 교통의 일부를 일정한 경로로 흐르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차도 내에 만든 교통도(交通島). - channelized intersection, channelization
(1) 주로 비주류의 좌우 회전 교통을 위한 주행로에서 노면 표시, 연석(緣石, curb)등 연취(緣取)에 의해 독립한 차도 또는 차선을 만든 것. (2) waterway (3) pi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