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월류형(越流形) 홍수토(洪水吐) 또는 슈트(chute)형 홍수토처럼 경사면에 따른 개수로로 홍수를 흘려보내는 형식의 홍수토에 있어서 홍수가 넘치게 되지 않고, 또한 거침없는 흐름이 되도록 수로의 양측에 만든 콘크리트의 벽.
교통도(특히 導流島)를 설치하고 교통을 일정한 진로로 안내하여 처리하는 형식의 평면 교차점.
토사의 퇴적을 저지하거나 수로를 유지할 목적으로 큰 강과 바다에서 물의 흐름을 유리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방형태의 구조물을 말한다.
하천의 합류점이나 하구 부분에서 유로가 토사의 체적으로 인하여 교란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그 개소에 설치하는 제방. 합류점에서는 하천에 끼울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도수제라고도 한다. 하구에서는 정선으로부터 어느 정도 바다에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때에는 돌제라고도 한다.
평면 교차점에 있어서 직진 및 좌.우화전의 교통을 도류도(導流島)나 노면 표시의 설치에 의해 안전하고 적절하게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1] 윈치 등과 병용하여 힘의 방향 전환, 인장 속도의 변화, 인장력의 변화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홈이 패인 풀리. [2] 도로에 의해 크기마다 구획된 주택 등의 부지. [3] <1>콘크리트 블록. <2>나무, 돌 등의 덩어리.
석재의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기. 직경 2.5 cm, 길이 약 10cm의 원기둥 공시체를 부착하고, 석영 모래를 살포하면서 28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원판에 접촉하여 1,000회전 후의 마모량을 측정한다.
T형을 거꾸로 한 형으로, 흙쌓기나 터깎기 등에서 흙을 떠받치는 구조물. 주로 후방 바닥판 위의 토사의 중량이 옹벽의 안정을 좋게 하도록 작용하는 옹벽.
도장에 의해 철근표면에 형성된 에폭시수지 피막
제도한 도면 오른쪽 밑에 내용을 요약해서 기입하는 난. 도면 번호. 공사 명칭. 척도, 책임자. 설계자의 서명, 도면 작성 연월일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