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조 시에도 수면 상에 노출되어 있으면서 수면에 둘러싸인 자연적으로 형성된 육지를 말하며, 섬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국제수로기구(IHO)에서는 표면적이 10㎢이상이면 도서, 10~1㎢이면 소도, 1㎢미만이면 암도로 분류하고 있다.
도서의 성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지각운동에 의하여 해저의 일부가 융기하거나 해안산맥의 일부가 침수하여 높은 땅이 해면 위에 남겨지거나 또는 육지의 일부가 가라앉아 그곳에 해수가 침입하는 등의 현상으로 생긴다.
(1) 평판 측량에 있어서 한 점에서 다수의 측점을 시준할 수 없는 경우에 하는 도해법에 의한 트래버스 측량. 도선법에는 단도선법과 복도선법이 있다. (2) 평판측량에 있어서 그림 위에 측점을 구하는 방법이다. 각 측점에 평판을 이동시켜 차례로 측점간의 거리와 방향을 측정하면서 도상에 트래버스(traverse)를 짜는 방법이다.
항만에 입·출항하는 선박에 탑승하여 선박을 안전한 수로로 안내하는 사람을 말한다.
(도선법 제2조) 도선사라 함은 일정한 도선구에서 도선 업무를 할 수 있는 도선사의 면허를 받은 자를 말한다.
흐름이 사류(射流)에서 상류(常流)로 바뀔 때는 그 변화가 불연속적으로 일어나며, 표면에 현저한 소용돌이를 동반하기 때문에 흐름은 작은 수심으로부터 큰 수심으로 급격히 변하는데 이 현상을 말한다.
수도용으로 취수한 물을 정수장으로 보내기 위한 개거(開渠), 암거(暗渠), 터널 등의 수로나 그에 부수하는 펌프장 등을 포함한 시설. 자연 유하식(自然流下式)과 펌프 압송식이 있다.
상수도. 수력 발전 등을 위해 취수한 물을 원수 그대로 취수구에서 목적지까지 보내는 동안의 수로. 취수한 물은 개수로. 관수로로 송수하지만 누수가 적고 상수도에서는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도수 시설 중 개거(開渠), 암거(暗渠), 터널 등의 수로 부분. head race
품질관리에 있어서 측정치의 존재범위를 몇 개 구간으로 나눌 경우에 각 구간에 속하는 측정치의 출현도수를 늘어 놓은 것을 말한다. 도수분포는 도수표, 히스트 그램, 도수분포 곡선으로 나타낸다.
노동재해의 발생빈도를 나타내는 지수인데 다음식과 같이 100만배한 것을 이용한다. 도수율 (일정기간의 재해건수/일정기간의 연노동시간)×1,000,000
노동 재해의 발생률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 노동 시간 100만 시간당 몇 건의 재해가 발생했는가를 나타내며, 다음 식에 의해 나타낸다. 도수율 (사상자수/노동 연시간)×1,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