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 측량에 있어서 기설(旣設)의 3각점만으로는 세부 측량에서 그 밀도가 불충분할 때 이것을 기초로 하여 위치, 표고를 안 점을 포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루어지는 작업을 도근 측량이라 하며, 새로이 설정된 낮은 정도의 보점(補點)을 도근점이라 한다. 세부 측량에는 평판이 사용되지만 평판상에서 다시 보점을 필요로 할 때에는 교회법에 의하여 도근점을 증설한다. 이것을 특히 도해 도근점이라 하고, 이를 위한 작업을 도해 도근점 측량이라 한다
지형 측량에서 기준점이 부족한 경우에 일시적으로 보충하는 기준점. minor control
금속 표면의 다른 금속 박막을 정착시켜 녹을 방지하거나 장식을 하는 방법. plating
금속 또는 비금속(플라스틱 등) 위에 금속 또는 합금의 피막을 만드는 것. 습식(濕式) 도금(수용액 전기 도금, 화학 도금 등)과 건식(乾式) 도금(진공 주착, 이온 플레이팅, 스페터링, 용융 도금, 증기 도금 등)이 있음. 건식도금은 공해 발생원으로서의 위치는 낮으나 습식 도금은 공해 발생원으로서의 위치가 높음.
(1) 양질의 찰흙을 주원료로 하는 소성 제품. 경토(硬土) 등의 품질은 토기와 자기의 중간에 위치한다. 흡수율은 10% 이상 크고, 보통 유약을 칠하여 사용한다. potery (2) 찰흙을 주원료로 하여 800 ~ 1,000℃의 온도로 소성한 제품. 다공질이고 흡수율이 크며, 또 강도가 낮다. 화분, 토관 등이 있다.
직경 150mm 이상의 도기로 만들어진 관. 양질의 찰흙을 주원료로 하고, 토관보다 고온으로 소성해서 만든다. 흡수율은 토관보다 작다. 하수관 등으로 사용된다.
쐐기 모양의 쇠머리 부분을 날카롭고 단단한 날끝으로 하고, 여기에 자로를 붙인 공구. 나무를 벌채하거나 목재를 쪼개거나 깎는데 사용한다. axe
철근의 커버를 확보하기 위하여 철근과 형틀 사이에 넣는 도넛 모양의 블록. 스페이서라고도 한다.
도시가 발전하면 중심부의 가치가 높아져서 사는 사람이 없어져 공동화하는 상태가 도넛과 비슷하다고 해서 일컬어지고 있는 현상.
고정 모멘트법에 있어서 어느 절점 A에서 모멘트를 분할했을 때 각 재의 다른 끝에 생기는 모멘트. 다른 끝이 회전단인 경우에는 제로, 고정단인 경우에는 A단의 분할 모멘트의 1/2이다.